美본토에 있던 B-1B 폭격기, 北-中 코앞 日기지에 전격 배치

3 hours ago 1

지금까진 괌 기지서 잠시 전개
구체적 대수-배치 기간 공개 안해
美, 북한의 핵-미사일 도발 대비
‘대만 포위 훈련’ 중국에 경고장도

미국 공군의 B―1B 전략폭격기가 15일 일본 아오모리현 미사와 주일미군 기지에 도착하고 있다. 미 본토 기지 소속 B―1B 폭격기가 괌을 거치지 않고 주일미군 기지로 직접 배치된 것은 이례적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미 인도태평양사령부 제공

미국 공군의 B―1B 전략폭격기가 15일 일본 아오모리현 미사와 주일미군 기지에 도착하고 있다. 미 본토 기지 소속 B―1B 폭격기가 괌을 거치지 않고 주일미군 기지로 직접 배치된 것은 이례적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미 인도태평양사령부 제공
‘죽음의 백조’로 불리는 미국 공군의 B―1B 전략폭격기가 최근 미 본토에서 일본 아오모리현 미사와 주일미군 기지에 전격 배치된 것으로 확인됐다. 미국의 대표적 확장억제 전력인 B―1B 전략폭격기는 그간 미 본토에서 괌 앤더슨 기지로 배치된 뒤 훈련을 위해 미사와 기지에 잠시 전개하는 방식을 취해 왔다. 미 본토에서 B―1B 폭격기 전력이 주일미군 기지로 직접 이동 배치된 것이 이례적이라는 평가가 나오는 이유다. 미사와 기지는 북한, 중국 본토와 근접한 주일미군 기지다. 도널드 트럼프 미 행정부가 B―1B의 전진 배치를 통해 북한의 핵·미사일 도발에 대비하는 동시에 이달 초 대만 포위 훈련을 실시한 중국에 경고장을 날렸다는 분석이 나온다.

● 美 본토에서 주일미군 기지로 직접 전개

19일 미 인도태평양사령부에 따르면 미 텍사스주 다이스 공군기지의 제9원정 폭격비행단 소속 B―1B 폭격기 여러 대와 조종사, 지원 인력이 15일 일본 아오모리현 미사와 기지에 도착했다. 인태사령부는 홈페이지 등을 통해 B―1B 전력의 다이스 기지 이륙 사진과 미사와 기지 착륙 사진을 공개했다. 다만 구체적인 대수와 병력 규모, 배치 기간은 공개하지 않았다.

인태사령부는 이번 B―1B의 일본 배치가 역내 동맹국 및 파트너와 함께 태평양 공군의 훈련 노력과 인도태평양 지역 내 안정을 강화하기 위한 전략적 억제 임무를 지원하기 위한 것이라고 밝혔다. 아울러 이번 배치가 일본과의 안보 협력을 지속하고, 인도태평양 지역에서 발생하는 모든 도전에 신속하고 단호하게 대응할 수 있는 미군의 통합 역량을 지원하는 조치라고 강조했다.

인태사령부 관계자는 “B―1B 폭격기의 일본 배치는 인도태평양 지역과 동맹국 및 파트너에 대한 미국의 헌신을 보여주는 것”이라고도 했다. 군 안팎에선 북한과 중국을 겨냥한 전략적 포석이라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우선 B―1B의 전개 방식부터 통상적인 배치로 보기 어렵다는 지적이다. 그간 B―1B는 미 본토에서 괌 앤더슨 기지로 6∼9개월간 순환 배치된 뒤 훈련이나 북한의 도발 때 한반도 주변과 주일미군 기지로 전개해 왔다. 괌에서 북한과 중국 본토는 3000km 이상 떨어져 있다.

하지만 미사와 기지에서 북한은 약 1100km 거리다. 초음속 비행이 가능한 B―1B 폭격기가 미사와 기지에서 출격한다면 40여 분이면 도달할 수 있는 거리다. B―1B 폭격기는 핵무장을 하지 않지만 최대 사거리가 925km인 장거리 공대지미사일(JASSM) 등으로 북한의 핵·미사일 기지와 지하 벙커 등을 동시다발로 타격할 수 있다. 군 관계자는 “북한의 지척에 대북 확장억제의 핵심 전력인 B―1B 폭격기가 일정 기간 배치되면 대북 도발 억제 효과가 배가될 것”이라고 했다. 또 괌 기지보다 중국 본토에 훨씬 가까운 미사와 기지에 B―1B의 배치가 정례화될 경우 중국이 느끼는 부담도 커질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북―중 견제 압박 고조 ‘신호탄’ 해석도

군 안팎에선 B―1B 전략폭격기의 미사와 기지 배치가 트럼프 행정부의 북한과 중국에 대한 압박과 견제 수위를 한층 높이는 신호탄일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김일성 생일(태양절)인 15일 B―1B가 한반도 상공에 전개돼 한미 연합 공중 훈련을 실시한 당일에 북한과 가까운 미사와 기지에 배치된 것은 다분히 핵·미사일 도발로 ‘레드라인(금지선)’을 넘지 말라는 대북 경고로 봐야 한다는 것. 아울러 이달 초 중국이 대만을 포위하는 형태의 대규모 합동 군사 훈련을 실시하면서 긴장을 고조시킨 것에 대한 미국의 ‘맞불 대응’으로도 풀이된다.

군 소식통은 “대규모 관세 부과에 이어 중국 해운사와 중국산 선박에 입항 수수료 부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중국 기원 주장 등에 이은 트럼프 행정부의 대중 압박 전술의 연장선으로도 볼 수 있다”고 했다.

윤상호 군사전문기자 ysh1005@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지금 뜨는 뉴스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