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힘 경선토론 찬탄-반탄 충돌… 내일 4강 압축

8 hours ago 1

“탄핵 사과했나” “계엄, 민주당 때문”
尹, 신당 시도했던 변호사들 만나
친윤도 “尹행보가 당에 마이너스”

19, 20일 열린 국민의힘 대선 경선 1차 조별 토론회에서 ‘반탄파’(탄핵 반대파)와 ‘찬탄파’(탄핵 찬성파) 후보들이 윤석열 전 대통령 탄핵 책임을 두고 충돌했다. 국민의힘은 21, 22일 국민여론조사를 실시해 22일 1차 컷오프 통과자 4명을 발표한다.

20일 서울 강서구 ASSA아트홀에서 열린 국민의힘 ‘제21대 대통령후보자 1차 경선 조별 토론회’에 참석한 B조 후보들이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왼쪽부터 이철우 경북도지사, 나경원 의원, 홍준표 전 대구시장, 한동훈 전 대표. 사진공동취재단

20일 서울 강서구 ASSA아트홀에서 열린 국민의힘 ‘제21대 대통령후보자 1차 경선 조별 토론회’에 참석한 B조 후보들이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왼쪽부터 이철우 경북도지사, 나경원 의원, 홍준표 전 대구시장, 한동훈 전 대표. 사진공동취재단
20일 서울 강서구 ASSA아트홀에서 열린 B조 토론회에선 반탄파인 나경원 의원과 이철우 경북도지사, 홍준표 전 대구시장과 찬탄파인 한동훈 전 대표가 비상계엄과 윤 전 대통령 탄핵을 두고 설전을 벌였다. 한 전 대표는 이날 토론에서 “우리 당이 배출한 대통령이 한 것이라 하더라도 비상계엄은 불법이라고 봤고 그래서 앞장서서 막았다”며 반탄파를 향해 포문을 열었다.

이에 홍 전 시장은 “(비상계엄은) 실질적인 피해가 없는 2시간의 해프닝”이라며 “대통령한테 자진 하야할 기회를 주자는 것이었다”고 했다. 나 의원은 “한 전 대표가 내란 몰이 탄핵을 선동한 것 때문에 결국 이 지경을 만든 것 아니냐”고 반박했다. 이 지사도 “대통령이 무슨 내란이냐”고 했다.

19일 오후 서울 강서구 ASSA아트홀에서 열린 국민의힘 ‘제21대 대통령후보자 1차 경선 조별 토론회’에 참석한 A조 후보들이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왼쪽부터 유정복 인천시장과 안철수 의원, 김문수 전 고용노동부 장관, 양향자 전 의원. 뉴스1

19일 오후 서울 강서구 ASSA아트홀에서 열린 국민의힘 ‘제21대 대통령후보자 1차 경선 조별 토론회’에 참석한 A조 후보들이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왼쪽부터 유정복 인천시장과 안철수 의원, 김문수 전 고용노동부 장관, 양향자 전 의원. 뉴스1
전날 열린 A조 토론회에서도 찬탄파인 안철수 의원은 “윤 전 대통령 탄핵 이후 국무위원으로서 국민께 사과했느냐”고 반탄파인 김문수 전 고용노동부 장관에게 질문했다. 이에 김 전 장관은 “사과한 적 없다”며 “더불어민주당의 30번에 걸친 줄탄핵 때문”이라고 반박했다.

한편 윤 전 대통령이 19일 ‘윤 어게인(Yoon Again) 신당’ 창당을 발표했다가 유보한 김계리 배의철 등 탄핵심판 법률대리인단을 만난 사실이 공개됐다. 한 친윤(친윤석열)계 의원은 “윤 전 대통령의 행보가 경선을 치르는 당에는 완전히 마이너스”라고 말했다.

한동훈 “계엄옹호 안돼” 홍준표 “2시간 해프닝” 나경원 “韓, 내란몰이 선동”

[대선 경선 레이스]
1차 경선 토론 찬탄-반탄 격돌
안철수 “대통령 파면뒤 사과했나”… 김문수 “계엄 책임은 민주당에”
洪 “생머리냐” 韓 “유치하다”… 네거티브 공세에 당내 “자폭토론”


“비상계엄은 반대하지만 경미한 과오뿐이라는 건 넓은 의미에서 계엄 옹호다.”(국민의힘 한동훈 전 대표)“한 전 대표는 당시 ‘대통령이 내란 자백했다’면서 내란몰이로 선동하는 데 가장 앞장섰다.”(나경원 의원)

20일 열린 국민의힘 대선 경선 후보 B조 토론회에서 ‘찬탄파’(탄핵 찬성파)인 국민의힘 한동훈 전 대표와 ‘반탄파’(탄핵 반대파)인 홍준표 전 대구시장, 나경원 의원, 이철우 경북도지사가 윤석열 전 대통령의 비상계엄과 탄핵 정당성을 두고 치열하게 맞붙었다.

이날 홍 전 시장이 한 전 대표에게 ‘키높이 구두’ 등에 대해 묻는 등 인신공격성 네거티브 공세를 펼쳐 논란이 되기도 했다. 당에선 “역대급 자폭 토론”이란 비판이 나왔다.

● 韓 “계엄이 경미한 과오냐” 반탄파에 포문

한 전 대표는 이날 서울 강서구 ASSA아트홀에서 열린 토론회에서 반탄파 후보들을 겨냥해 “비상계엄 질문을 안 할 수 없다”며 “계엄이 정당하다거나, 계엄이 잘못된 것이고 계엄한 대통령이 직무 수행을 할 수 없다고 보거나 둘 중 하나”라고 했다.

이에 대해 나 의원은 “왜 대통령 후보 경선하는데 윤 전 대통령을 자꾸 끌어들이냐”며 “한 전 대표의 내란몰이 탄핵 선동을 굉장히 안타깝게 생각한다”고 했다. 나 의원은 또 “이번 대선은 중도 확장을 얘기할 게 아니라 체제전쟁”이라며 “한 후보는 보수 통합을 위해서 대통령 후보는 그만두고 헌신하면 어떻느냐”고 했다. 이 지사는 “(국회에서) 탄핵소추를 안 했으면 헌법재판을 받을 필요가 없다. 왜 경솔하게 탄핵에 들어갔냐”고 했다.

한 전 대표는 홍 전 시장을 향해서는 “전에 (비상계엄에 대해) ‘경솔한 한밤중의 해프닝’ ‘홧김에 서방질’이라고 표현한 적 있다. 계엄 반대 취지냐”고 물었다. 이에 홍 전 시장은 “탄핵에는 반대했다. 비상계엄은 실질적으로 피해가 없었다”고 말했다. 홍 전 시장이 “‘배신자 프레임’은 어떻게 벗을 것인가”라고 역공을 펴자 한 전 대표는 “나는 국민을 배반하지 않기 위해 계엄을 저지했다”고 반박하기도 했다.

한 전 대표는 토론 마무리 발언에서 “국민들께 죄송하다. 겪어서는 안 될 일을 겪게 했다. 책임감을 느낀다”고 사과했다. 다른 후보들은 비상계엄에 대한 반성이나 사과 언급이 없었다.

후보들은 장외에서도 탄핵 설전을 이어갔다. 홍 전 시장은 토론회 뒤 기자들과 만나 “탄핵은 끝났다”며 “새로운 찬반 논쟁은 옳지 않다”고 말했다. 반면 나 의원은 “이번 선거는 탄핵에서 벗어날 수 없다”며 “탄핵 찬반 논쟁은 자유민주주의 가치 논쟁”이라고 했다.

전날 A조 토론회에서는 찬탄파 안철수 의원이 “비상계엄으로 대통령께서 파면됐는데 반성과 사과가 없으니까 더불어민주당이 우리를 계엄 옹호당이라고 밀고 있다”며 반탄파 김문수 전 고용노동부 장관을 압박했다. 이에 김 전 장관은 “대통령이 비상계엄을 선포할 수밖에 없는 안타까운 사정에 대해 책임은 민주당에 있다”고 맞섰다.

이틀간 토론회에선 민주당 이재명 전 대표도 화두에 올랐다. 홍 전 시장은 “이번 선거는 이재명 중범죄자 나라를 안 만들기 위한 후보를 뽑는 선거인데 한 전 대표가 법무부 장관을 할 때 이재명을 못 잡아넣어서 사법적으로 패배했다”고 말했다. 이에 한 전 대표는 “내가 여소야대 상황에서 (이재명) 체포동의안을 통과시켰다”고 강조했다. 전날엔 양향자 전 의원이 이 전 대표의 인공지능(AI) 공약이 적힌 종이를 꺼내 “빈 깡통이다. 찢어버리는 게 맞다”며 종이를 찢는 퍼포먼스를 했다. 유정복 인천시장은 “이 전 대표가 갖지 못한 놀라운 성과와 업적이 나에게 있다”고 했다.

● 인신공격성 네거티브 공방도

이날 후보들은 네거티브 공세도 펼쳤다. 홍 전 시장은 한 전 대표에게 “내가 정치 대선배다. 어떤 말을 묻더라도 고깝게 듣지 말고 편하게 답해 달라”며 “‘청년의 꿈’(홍 전 시장 온라인 플랫폼)에서 꼭 질문해 보라고 해서 몇 가지 질문하겠다. 키도 크신데 무엇 하러 키높이 구두를 신느냐”고 물었다. 한 전 대표는 “(질문한 사람이) 청년이 아닌 것 같다. 그런 질문 하시는 것 보면”이라고 넘겼다. 이에 홍 전 시장은 “생머리냐, 보정속옷을 입었느냐는 질문은 유치해서 안 하겠다”고 했다. 한 전 대표는 “유치하다”고 했다.

나 의원과 홍 전 시장은 한 전 대표 가족들이 당원게시판에 윤 전 대통령 부부 등을 비판했다는 이른바 ‘당원게시판’ 의혹을 두고 협공을 펴기도 했다. 나 의원은 홍 전 시장을 향해 “우리 당 댓글 게시판 논란을 알 거다”고 물었고, 홍 전 시장은 “경찰에서 결론 낸 거 같은데”라고 호응했다. 이 지사는 “박근혜 탄핵 때 적폐 청산해서 보수가 거의 궤멸되다시피 했는데 그 장본인이 한 전 대표”라며 “그때 칼춤 추고 ‘화양연화’(가장 아름답고 찬란했던 시절)라고 즐긴 사람”이라고 했다.

4강에 들기 위한 후보 간 공방도 격해졌다. 안 의원은 페이스북에 “이게 당 대표 전당대회냐”며 “모두 대권은 포기하고, 당권만 노리고 나온 것 아니냐”고 했다. 이에 나 의원은 “적반하장도 유분수다. 내부 총질로 경선판을 흐리고 분열을 획책하려는 저의가 개탄스럽다”며 “남의 둥지에 알 낳고 다니는 뻐꾸기 그만하고 차라리 탈당해 안철수당 만들어 갈 길을 가라”고 반박했다.

김성모 기자 mo@donga.com
조권형 기자 buzz@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지금 뜨는 뉴스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