케빈 김 주한미국대사대리(사진)가 28일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대북 정책에 대해 "트럼프 대통령은 '피스 메이커(peace maker)'"라며 "향후 트럼프 대통령 행정부에선 모든 옵션(option)이 가능하다"고 말했다.
김 대사대리는 이날 한미동맹재단이 용산구 드래곤힐호텔에서 주최한 강연에서 "트럼프 대통령은 '전에 없었던 방법'을 사용하시는 분"이라며 "트럼프 행정부 1기 때 북한과 정상회담을 했던 것처럼 모든 가능성이 열려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김 대사대리는 2019년 미·북 정상회담 당시 스티븐 비건 국무부 대북특별대표 겸 국무부 부장관의 보좌관으로서 북한 비핵화 협상에 참여했다.
트럼프 행정부가 대북 정책에 대해 보다 적극적으로 관여하겠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김 대사대리는 트럼프 행정부의 대북 정책과 관련해 "어떠한 옵션도 예외로 둬선 안 된다"고 강조했다. 이어 "지난달 말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가 열리기 전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 협약을 체결했다"며 "중동 지역에서도 좋은 해결책을 도출했다. 트럼프 행정부는 전 세계 평화를 추구하는 만큼 한반도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했다.
김 대사대리는 "무엇보다도 공동의 도전과제를 한반도뿐만 아니라 인도·태평양지역에서 해결하는 게 중요하다"며 한미동맹이 북한뿐 아니라 중국 등을 견제해야 한다고도 발언했다. 그는 북한의 고도화되고 있는 핵 능력과 러시아와의 군사협력을 언급하며 "모든 도전과제는 우리에게 중대한 이슈로써 반드시 대응해야 한다"고 했다. 이어 "북한의 핵 능력 발전은 한국에만 위협되는 것이 아니라 미국과 일본 등 다양한 동맹국에 위협이 된다"며 "미국은 확장 억지력을 통해서 한반도를 안정시킬 것"이라고 했다.
김 대사대리는 지난 14일 한미 정부가 무역·안보 합의 내용을 발표한 '조인트 팩트시트(공동설명자료)'에 대해선 "한미동맹의 중요성과 미국의 억제력 중요성 강조한 것"이라고 했다. 이어 "한국은 굉장히 모범적 동맹으로써 스스로 비용을 책임지고 방위비를 국내총생산(GDP) 대비 3.5% 수준으로 올리려고 한다"며 "이러한 토대를 바탕으로 함께 경제적 외교적 문제를 함께 해결해나갈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일각에서 거론되는 주한미군의 감축에 대해선 언급하지 않았다. 김 대사대리는 "주한미군은 계속해서 유지할 것"이라며 "주한미군의 한국 주둔이라는 약속은 계속해서 한국에 안보를 제공하겠다는 약속이고 한미 상호조약에 따른 것"이라고 했다. 이어 "양국은 계속해서 협력해 나가야 한다"며 "우리는 확장억제력을 제공할 것이고 이러한 기조는 이어질 것"이라고 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양안(중국·대만) 문제에 대해서 적극적으로 대응할 것이라고도 했다. 김 대사대리는 "대만은 중국 정부의 주요 관심사다. 중국의 '원 차이나' 정책을 보면 다양한 공동 커뮤니티가 들어가 있다"며 "어떠한 일이 일어나든 간에 대만해협과 인태지역 평화를 유지할 수 있도록 트럼프 대통령은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전했다.
배성수 기자 baebae@hankyung.com

3 hours ago
1
![[속보] 이 대통령, 방미통위 위원으로 류신환 변호사 위촉](https://amuse.peoplentools.com/site/assets/img/broken.gif)
![[속보]초대 방미통위 위원장에 김종철 교수 지명](https://dimg.donga.com/wps/NEWS/IMAGE/2024/06/24/125588468.1.jpg)






![[한경에세이] AI 협력 앞당길 경주 APEC](https://static.hankyung.com/img/logo/logo-news-sns.png?v=20201130)
![[속보] SK텔레콤 3분기 영업익 484억원…전년 대비 90.92%↓](https://img.hankyung.com/photo/202510/AD.41815821.1.jpg)




English (U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