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펜타닐 관세 낮추고 中은 희토류 풀까 … 30일 '맞교환 협상'

7 hours ago 2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30일 부산에서 '세기의 회담'을 가지며, 이번 회담이 미·중 갈등 해소의 기점이 될지 주목받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회담에서 펜타닐 관세 인하와 중국의 미국산 대두 수입 재개, 희토류 수출 통제 완화 등을 주요 논의 사항으로 삼을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미·중 무역전쟁의 구조적 문제가 해결되지 않을 가능성도 존재하여 '작은 합의'에 그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회원용

핵심 요약쏙은 회원용 콘텐츠입니다.

매일경제 최신 뉴스를 요약해서 빠르게 읽을 수 있습니다.

30일 美中정상 세기의 담판
시진핑 30일 11년만에 방한
부산서 트럼프와 6년만 재회
"美 펜타닐관세 10%P 낮출듯"
中, 美 대두 수입 재개도 주목
일각 "스몰딜 그칠 것" 회의론
트럼프 "많은 문제 해결될것"

경주행 '마린원' 탑승하는 트럼프 대통령 29일 국빈 방한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오전 11시 30분쯤 전용기 에어포스원을 통해 부산 김해국제공항에 도착한 뒤 경주 보문단지로 가기 위해 전용헬기 마린원에 탑승하고 있다.  연합뉴스

경주행 '마린원' 탑승하는 트럼프 대통령 29일 국빈 방한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오전 11시 30분쯤 전용기 에어포스원을 통해 부산 김해국제공항에 도착한 뒤 경주 보문단지로 가기 위해 전용헬기 마린원에 탑승하고 있다. 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30일 부산에서 진행할 '세기의 회담'에 전 세계 이목이 쏠리고 있다. 미·중 무역전쟁으로 전 세계 경제가 요동치는 가운데 이번 회담을 기점으로 양국 갈등이 해소 국면에 접어들지 주목된다.

중국 외교부는 29일 "시 주석이 30일 부산에서 중·미 합의에 따라 트럼프 대통령과 회담한다"며 "양국이 공동으로 관심을 갖고 있는 문제에 대해 의견을 교환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다만 장소와 시간 등 구체적 내용은 공개하지 않았다. 회담 장소로는 김해국제공항이 거론되고 있다. 두 정상 간 만남은 2019년 6월 일본 오사카에서 열린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 이후 6년여 만이다. 시 주석의 방한은 2014년 이후 11년 만이다.

미·중 정상회담의 관전 포인트는 크게 세 가지다. 우선 미국이 중국에 부과한 '펜타닐 관세' 인하 여부다. 트럼프 대통령은 경주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에 참석하기 위해 이날 일본에서 한국으로 이동하는 미국 대통령 전용기(에어포스원)에서 '(이번 회담에서) 펜타닐 관세를 낮출 의향이 있거나 그렇게 될 것으로 예상하느냐'는 취재진의 질문에 "중국이 펜타닐 문제 해결에 협력할 것으로 믿고 있기 때문에 그것(관세)을 낮출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이어 트럼프 대통령은 "(시 주석과의 회담은) 매우 중요하다"며 "많은 문제가 해결될 것이고 미국과 세계를 위해 좋은 결과가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펜타닐 문제가 핵심 논의 사항 중 하나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이 발언은 중국이 펜타닐 문제 대응에 협조하는 조건으로 해당 관세율을 낮추겠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트럼프 행정부는 합성마약 펜타닐 문제에 대한 중국의 미흡한 대응을 명분으로 중국산 제품에 20%포인트의 추가 관세를 부과하고 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미국이 펜타닐 관세를 10%포인트 낮출 것으로 예상된다"고 보도했다. 이렇게 되면 현재 평균 55%에 이르는 미국의 대중 관세율은 45%로 낮아진다.

사진설명

중국의 미국산 대두 수입 여부도 주요 관심사다. WSJ는 "중국이 사실상 수입을 중단한 것으로 알려진 미국산 대두를 상당량 구매하겠다는 약속을 할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미국이 펜타닐 관세를 10%포인트 인하하면 이에 대한 반대급부로 중국이 미국산 대두 수입을 재개할 것이라는 관측이다. 중국이 희토류 수출 통제 조치를 완화할지도 전 세계가 주목하고 있다. 앞서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장관은 이번 미·중 정상회담을 통해 중국이 오는 12월 1일부터 시행하기로 한 희토류 수출 통제 강화 방안을 유예하고, 미국은 다음달 1일부터 시행하려 한 대중 100% 추가 관세 부과를 보류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중국이 희토류 수출 통제 강화를 1년 유예하기로 한 것이 충분하다고 생각하는가'라는 취재진 질문에 "우리는 시간에 대해 다시 논의하지는 않았지만, 무언가를 잘 해결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엔비디아의 최신 인공지능(AI) 반도체 '블랙웰'과 관련해서는 "블랙웰은 놀라운 칩"이라며 "아마도 시 주석과 이에 대해 논의할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다만 일각에서는 두 정상 간 만남에도 미·중 무역전쟁의 구조적 문제가 완전히 해소되지 않을 것이라는 경계론이 제기된다.

미·중이 당장의 안정에만 초점을 두고 있어 '큰 합의(grand deal)'보다는 '작은 합의'를 도출하는 데 그칠 가능성이 크다는 것이다. 대표적 사례가 희토류 수출 통제 문제다. 중국이 '희토류 카드'를 꺼내든 것은 미국이 대중 반도체 수출 통제를 시행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베선트 장관은 앞서 "미국의 수출 통제 철회는 (이번) 협상 대상이 아니다"고 못 박았다.

[워싱턴 최승진 특파원 / 베이징 송광섭 특파원]

기사 속 종목 이야기

  • NVIDIA Corporation

    NVDA, NASDAQ

  • Intel Corporation

    INTC, NASDAQ

  • POSCO홀딩스

    005490, KOSPI

    327,000 + 1.55%
  • LG화학

    051910, KOSPI

    417,000 + 0.85%

주의사항 : 본 서비스는 AI의 구조적 한계로 인해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모든 내용은 투자 권유 또는 주식거래를 목적으로 하지 않습니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

좋아요 0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