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상무 "기본관세 10% 유지…일부 품목은 무관세 가능성"

7 hours ago 2

미국이 각국과의 관세협상에서 기본관세 10%를 폐지하지 않겠다는 방침을 분명히 했다. 품목별 관세는 일부 면제가 가능하다고 밝혔다.

하워드 러트닉 미국 상무장관은 11일(현지시간) 폭스뉴스와의 인터뷰에서 중국에 부과한 145% 추가 관세를 언급하며 “나머지 국가는 (기본관세가) 10%”라며 “너무 과장하지 말라”고 말했다. 미국에 대규모 무역적자를 입히는 일부 국가를 제외하고는 관세 부담이 크지 않다고 한 것이다. 이어 “우리(미국)는 전 세계의 소비자”라며 “모두가 이곳에서 상품을 팔기를 원하고 있고 또한 미국과 거래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러트닉 장관은 전날 CNN과의 인터뷰에서도 “기본관세는 10% 아래로 내려가지 않을 것”이라며 “그건 우리가 갈 수 없는 지점”이라고 했다. 다만 “우리는 국가별로 상대국의 특정 문제를 해결할 것”이라며 “예컨대 철강과 알루미늄, 항공기 부품은 관세 없이 수입될 수 있다”고 말했다.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각국에 부과한 관세는 기본관세 10%와 국가별 개별관세로 구성된다. 예컨대 한국에 부과한 25%의 상호관세 중 10%는 기본관세, 15%는 국가별 개별관세다. 관세협상을 하더라도 국가별 개별관세만 조정하되, 자동차와 철강·알루미늄 등 품목별 관세는 일부 면제하거나 인하할 수 있다고 밝힌 것이다. 미국은 이미 영국과의 무역협정에서 이 같은 방안을 적용했다. 영국산 자동차에 대해 연간 10만 대까지는 관세를 25%에서 10%로 낮추고, 영국산 철강은 25% 관세를 아예 면제해줬다. 미·영 협상은 미국이 다른 국가와 협상할 때 가이드라인이 될 전망이다.

하지만 이 같은 미 행정부 방침을 두고 각국이 반발할 가능성이 있다.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는 최근 후지TV와의 인터뷰에서 “우리는 (관세) 철폐를 요구하고 있으며 10%면 좋다고 할 수 없다”며 “협상 기한(7월 8일)이 온다고 해서 불리하더라도 타협해야 한다는 이야기는 안 된다”고 말했다.

뉴욕=박신영 특파원 hohoboy@hankyung.com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