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VP로 시작해 MVP로 끝냈다' 김연경, 만장일치 MVP...남자부는 허수봉

1 day ago 2

[이데일리 스타in 이석무 기자] ‘배구여제’ 김연경(흥국생명)이 MVP에서 시작해 MVP로 선수인생의 마침표를 찍었다.

14일 서울 서대문구 스위스그랜드호텔에서 열린 프로배구 도드람 2024~25 V리그 시상식에서 여자부 정규리그 MVP를 수상한 김연경이 기념 촬영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14일 서울 서대문구 스위스그랜드호텔에서 열린 프로배구 도드람 2024~25 V리그 시상식에서 현대캐피탈 허수봉이 남자부 정규리그 MVP를 수상한 뒤 기념 촬영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김연경은 14일 서울 서대문구 홍은동 스위스 그랜드호텔에서 열린 도드람 2024~25 V리그 시상식에서 기자단 투표 31표를 모두 쓸어담으면서 만장일치로 정규시즌 여자부 MVP에 등극했다.

V리그에서 만장일치 정규리그 MVP는 2018~19시즌 이재영(당시 흥국생명), 2022~23시즌 김연경에 이어 이번이 세 번째다. 김연경은 두 차례 만장일치 MVP 수상 기록을 세웠다.

이번 수상으로 김연경은 정규시즌 MVP 수상을 7회로 늘렸다. 이는 여자부 최다 수상 기록이다.

아울러 김연경은 2022~23, 2023~24시즌에 이어 3시즌 연속 MVP 금자탑도 세웠다. 앞서 그는 2005~06시즌부터 2007~08시즌까지도 3시즌 연속 MVP 수상을 이룬 바 있다.

김연경은 지난 시즌 정규리그에서 퀵오픈 성공률 1위(54.47%), 공격 성공률 2위(46.03%), 후위 공격 성공률 3위(43.97%), 오픈 공격 성공률 5위(36.43%), 최다 득점 7위(585점), 서브 8위(세트당 0.23개), 리시브 효율 2위(41.22%) 등 공수에서 발군의 기량을 뽐냈다.

김연경의 활약에 힘입어 흥국생명은 압도적인 성적으로 정규리그 1위를 차지한 뒤 챔피언결정전에서도 정관장과 5차전 혈투를 벌인 끝에 극적으로 승리했다..

프로 데뷔 첫 시즌인 2005~06시즌 챔프전 MVP와 정규시즌 MVP를 독차지한 김연경은 은퇴 시즌에서도 챔프전 MVP와 정규리그 MVP를 휩쓰는 대기록을 세웠다.

앞서 챔피언결정전 우승을 이끈 김연경은 역대 두 번째로 만장일치 챔피언결정전 MVP를 차지한 바 있다.

김연경은 이번 시즌을 끝으로 현역 선수 생활을 마무리하겠다고 선언했다. 이번 시상식은 김연경이 현역 선수로서 치르는 마지막 행사라는 의미가 있다.

남자부 MVP는 현대캐피탈을 통합 우승으로 이끈 ‘토종 에이스’ 허수봉에게 돌아갔다.

허수봉은 기자단 투표에서 총 31표 중 13표를 얻어 팀 동료 레오나르도 레이바 마르티네스(12표·등록명 레오)를 단 한 표 차로 제치고 수상 영예를 안았다. 개인 첫 MVP 수상이다.

허수봉은 올 시즌 최다 득점 4위(574점), 공격 성공률 3위(54.13%), 세트당 서브 에이스 3위(0.35개), 오픈 공격 성공률 5위(40.43%), 후위 공격 성공률 2위(61.74%)에 오르는 등 공격 각 부문에서 단연 돋보이는 활약을 펼쳤다.

경북사대부고 재학 시절부터 한국 남자배구 차세대 에이스로 기대를 모았던 허수봉은 고교 선수로서 최초로 1라운드에 지명된 기록을 세웠다.

2016년 11월 남자 프로배구 신인드래프트 1라운드 3순위로 대한항공의 지명을 받은 허수봉은 나흘 만에 현대캐피탈로 트레이드됐고 이후 줄곧 현대캐피탈에서 활약했다.

올 시즌 허수봉은 한국 배구를 대표하는 최고의 공격수로 확실히 자리매김했다. 한국배구연맹(KOVO)컵 우승, 정규리그 1위, 챔피언결정전 우승을 차례로 이끌며 구단 사상 첫 ‘트레블’(3관왕) 달성을 견인했다.

남녀부 영플레이어상은 우리카드 3년 차 세터 한태준과 한국도로공사 신인 세터 김다은에게 돌아갔다.

한태준은 기자단 투표 31표 중 21표를 얻어 OK저축은행 공격수 신호진(10표)을 여유있게 제쳤다. 그는 올 시즌 세트 2위를 차지하는 등 리그 정상급 세터로 발돋움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김다은은 31표 중 25표를 받아 GS칼텍스 공격수 이주아(6표)를 크게 앞섰다. 김다은도 프로 진출 첫 해 세트 2위에 오르며 앞으로 뚜렷한 인상을 남겼다.

영플레이어상은 올 시즌을 포함해 3시즌 내에 입단한 선수 중 가장 활약한 선수에게 주는 상이다. 과거에는 ‘순수 신인’에게 신인상을 수여했지만 최근 후보군을 확대하면서 영플레이어상을 신설했다.

남자부 베스트 7에는 아웃사이드 히터 허수봉, 레오, 아포짓 스파이커 안드레스 비예나(등록명 비예나·KB손해보험), 미들 블로커 김준우(삼성화재), 최민호(현대캐피탈), 세터 황택의(KB손해보험), 리베로 정민수(KB손해보험)가 선정됐다.

여자부 베스트 7은 아웃사이드 히터 김연경, 반야 부키리치(등록명 부키리치·정관장), 아포짓 스파이커 지젤 실바(등록명 실바·GS칼텍스), 미들 블로커 이다현(현대건설), 아날레스 피치(등록명 피치·흥국생명), 세터 염혜선(정관장), 리베로 임명옥(한국도로공사)이 뽑혔다.

감독상은 우승을 이끈 남자부 현대캐피탈 필립 블랑, 여자부 흥국생명 마르첼로 아본단자 감독에게 돌아갔다.

KOVO는 출범 20주년을 맞아 역대 V리그 남녀부 베스트 7도 선정했다.

남자부는 아웃사이드 히터 레오, 곽승석(대한항공), 아포짓 스파이커 박철우, 미들 블로커 신영석(한국전력), 이선규, 세터 한선수(대한항공), 리베로 여오현이 이름을 올렸다.

여자부는 아웃사이드 히터 김연경, 한송이, 아포짓 스파이커 황연주(현대건설), 미들 블로커 양효진(현대건설), 정대영, 세터 이효희, 리베로 임명옥(한국도로공사)이 영예를 안았다.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