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국민은행, AI 에이전트용 데이터 플랫폼 만든다…'금융권 최초'

3 hours ago 1
KB국민은행이 금융권 최초로 'AI 에이전트(Agent)'를 위한 데이터 플랫폼 구축에 착수했다. AI 서비스 확장에 대비해 내부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활용하는 기반을 구축한다. 이미지=ChatGPTKB국민은행이 금융권 최초로 'AI 에이전트(Agent)'를 위한 데이터 플랫폼 구축에 착수했다. AI 서비스 확장에 대비해 내부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활용하는 기반을 구축한다. 이미지=ChatGPT

KB국민은행이 금융권 최초로 'AI 에이전트(Agent)'를 위한 데이터 플랫폼 구축에 착수했다. AI 서비스 확장에 대비해 내부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활용하는 기반을 구축한다.

국민은행에 따르면 최근 '에이전트 중심 데이터 현대화' 프로젝트를 시작했다. 쉽게 말해 최근 금융권 화두로 떠오른 'AI 에이전트'에 양질의 자료를 적시적소에 공급하는 시스템을 만드는 것이다. 현재 국민은행이 보유한 데이터 플랫폼이 가진 구조·기술적 제약과 확장성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인프라를 갖추는 것이 목표다.

AI 에이전트는 생성형 AI로 특정 작업 수행까지 가능한 일종의 '자율지능형 시스템'이다. 생성형 AI가 텍스트, 이미지, 음악 등 콘텐츠 생성과 답변에 머문다면, AI 에이전트는 사용자를 대신해 직접 문제 해결과 복잡한 작업 실행까지 가능하다. 제공 데이터와 상황에 따라 자동 업무 수행까지 가능해 직원 업무 효율성을 높일 것으로 기대된다.

KB국민은행은 최신 데이터 플랫폼을 확보해 AI가 국민은행 전산 시스템 곳곳에 산재한 자료 중 양질의 데이터를 고르고 융합해, 이를 제대로 활용할 수 있는 환경을 구축하겠다는 전략이다.

이런 기능을 갖춘 새 데이터 플랫폼을 기반으로 개별업무 단위 AI 에이전트를 개발·검증·적용한다. 제일 먼저 리스크 관리 업무에 이 데이터 플랫폼을 적용할 계획이다.

국민은행 관계자는 “대량 데이터를 활용해 복잡한 분석과 다양한 정보를 생성해야 하는 리스크 관리 업무에 우선 새 데이터 플랫폼을 연계할 것”이라면서 “이를 필두로 KB국민은행 핵심사업인 고객접점 AI 에이전트까지 적용을 확대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KB금융은 앞서 올해 5월 금융권로 최초 에이전틱(Agentic) AI 기반 '그룹 공동 생성형 AI 플랫폼(KB GenAI 포털)'을 오픈했다.

KB금융지주 8개 계열사(KB국민은행, KB증권, KB손해보험, KB국민카드, KB라이프생명, KB자산운용, KB캐피탈, KB저축은행)가 협업해 만든 이 플랫폼은 AI 에이전트를 개발할 수 있는 플랫폼이다. 프라이빗뱅커(PB) 에이전트, 고객상담(CS) 등 임직원이 자신에게 맞는 에이전트를 골라 업무를 지시하면, 직접 업무 수행까지 가능하다.

KB금융은 앞으로 3년간 39개 업무 영역에 250여개 AI 에이전트를 순차적으로 도입해 그룹 전 직원이 AI를 실질적 업무 파트너로 활용하도록 체계를 갖출 방침이다.

양종희 KB금융지주 회장은 이달 열린 하반기 그룹 경영진 워크숍에서 △고객 △효율 △AI △포용을 4대 의제로 삼고 “AI 대전환의 시대는 위기인 동시에 KB금융이 부가가치를 더 키울 새 기회”라고 강조했다.

AI 에이전트는 금융권에서 최근 빠르게 확산 중이다. 특히 인력 효율화와 인공지능 전환(AX)·디지털 전환(DX)을 진행 중인 은행권이 이를 적극 도입 중이다.

우리금융은 우리은행을 중심으로 8월까지 생성형 AI 플랫폼 '젠(Gen)-AI'를 구축할 계획이다. 조직 내부에 생성형 AI 모델을 개발·운영할 수 있는 인프라 기반을 마련해 챗봇, 로보어드바이저 등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목표다.

IBK기업은행은 소상공인·사업자 대상 AI 에이전트를 도입할 예정이다. 중·소상공인과 자영업자가 필요로 하는 재무·세무 금융 서비스를 자동화 수행할 수 있도록 스타트업과 협업하고 있다. 향후 3년 내 애플리케이션(앱)에 AI 에이전트 탑재를 목표로 AI 에이전트 개발에 나섰다.

김시소 기자 siso@etnews.com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