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4위 OTT인 HBO와
콘텐츠 제휴·공동제작 합의
티빙 전용 브랜드관도 신설
K콘텐츠 글로벌IP 확대나서
CJ EnM의 OTT 플랫폼 티빙이 글로벌 주요 OTT인 미국 HBO 맥스와 손잡고 'K콘텐츠' 지평을 아시아·태평양 17개국으로 넓힌다. 글로벌 플랫폼에 티빙의 보유 작품을 선보이는 것을 넘어 함께 투자·제작한 신규 콘텐츠로 경쟁력 있는 지식재산권(IP)을 확보하겠다는 전략이다. CJ EnM은 HBO 맥스를 보유한 미디어 엔터테인먼트그룹 워너브러더스 디스커버리와 이 같은 내용의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했다고 16일 밝혔다.
이번 파트너십으로 티빙은 HBO 맥스를 통해 홍콩, 대만, 동남아시아 등 아시아·태평양 17개국에 자사의 콘텐츠를 공급한다. 다음달 일부 콘텐츠를 HBO 맥스에 선보인 뒤, 내년부터는 HBO 맥스 플랫폼 안에 신설되는 티빙 브랜드관에 콘텐츠를 노출시킬 계획이다. 드라마 '유미의 세포들' '피라미드 게임', 예능 '환승연애' 시리즈 등 티빙 오리지널 콘텐츠들이 HBO 맥스 플랫폼을 통해 아태 지역 시청자들과 만날 것으로 기대된다.
또 양사는 콘텐츠 공동 제작에도 힘을 모으기로 했다. 공동 투자와 기획을 거쳐 함께 K콘텐츠를 제작한 뒤 HBO 맥스에 공개한다는 목표다. 티빙은 '왕좌의게임' '체르노빌' '더 라스트 오브 어스' 등으로 '프리미엄 드라마' 명가 반열에 오른 HBO 측과의 협업을 통해 K콘텐츠 제작에 시너지가 날 것으로 기대 중이다. 공동 투자로 얻게 되는 IP를 활용해 콘텐츠 관련 수익을 극대화한다는 청사진도 갖고 있다. HBO 맥스를 보유한 워너브러더스의 가입자 수는 지난해 기준으로 넷플릭스, 아마존 프라임 비디오, 월트디즈니컴퍼니에 이어 글로벌 4위다.
이번 파트너십은 과거 토종 OTT와 글로벌 OTT 간 이뤄졌던 협업과는 궤가 다르다. 티빙은 과거 파라마운트+와 제휴했으나 일부 콘텐츠만 개별 계약을 통해 공급하는 데 그쳤다. 웨이브와 NBC유니버설의 협업 사례도 비슷하다. 그러나 이번처럼 티빙이 자체적으로 판단해 콘텐츠를 글로벌 OTT에 노출하는 파트너십은 전례가 없다.
파트너십이 성사된 배경엔 양사의 사업적 이해관계가 있다. 티빙은 전 세계적인 K콘텐츠 인기에도 보유 작품을 공개할 통로가 없었다. 그러다 보니 해외 시청자들의 취향과 선호도를 파악하기도 어려웠고, IP를 기반으로 한 수익 사업에도 적극 뛰어들지 못했다. 워너브러더스도 아태 지역으로 사업 확장을 추진하면서 K콘텐츠를 제작하고 공급하는 데 노하우가 있는 파트너사가 필요했다. 이해관계가 맞아떨어진 것이다.
CJ EnM 관계자는 "HBO 맥스는 최근 급속도로 영토를 확장하고 있는 OTT"라며 "제작 능력을 탄탄하게 갖추고 있는 워너브러더스와 협업이 미래에 훨씬 사업적으로 유효할 것으로 보고 있다"고 설명했다.
향후 파트너십이 고도화되면 북미시장 진출도 넘볼 수 있다. HBO 맥스의 미국 스트리밍 시장점유율은 13%로 넷플릭스와 아마존프라임에 이어 3위다. 탄탄한 입지를 구축하고 있어 이번 파트너십이 CJ EnM의 북미시장 진출의 교두보가 될 가능성이 있는 셈이다.
[최현재 기자 / 정호준 기자]










English (U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