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acker News 의견
미국 빅테크에 비해 유럽 토종 서비스의 성숙도가 부족하다는 지적이 있을 수 있지만, 건강한 내수 소비로만 그 경험과 발전 가능성이 생긴다고 봄
EU가 자체 서비스를 쓰고, 이게 지역 경쟁을 자극한다면 발전 가능성 충분함
단순히 돈이 아니라 실제 자립성이 중요한 논점임
EU가 자체 기술 기업과 역량에 더 많이 투자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함
그러나 지금 유럽에 미국 수준의 FAANG 기업이 없는 건 반기업/반스타트업적 정책 탓이 큼
정책의 선의와는 별개로 실제로 영향을 미치고 있으니, 유럽 창업자들의 실제 경험담도 궁금함
Epic Systems는 영국, 덴마크, 핀란드, 스위스, 노르웨이 등지에서 완전 실패 사례임
미국 클라우드에 의존 줄이자는 데 동의하지만, OVH는 또 너무 극단의 선택임
참고글: https://green.spacedino.net/software-is-not-the-service/
내 경험상 해당 클라이언트는 왜 2U 서버를 AWS에 3배 가격 내고 둬야하는지 설명 못함, 그냥 반드시 그렇게 해야 한다는 식임
이후로도 자주 이런 케이스 봤음
EU가 클라우드 독립에 성공하길 바람, 경쟁이 더 많아지면 인권 면에서도 더 나은 환경 생길 전망임
미국 주권 전용 서비스는 Azure US Government뿐이고, 유럽엔 이 서비스가 런칭되지 않음
예전엔 Azure Germany처럼 주권형 서비스 제공한 적도 있음
단, 기능 롤아웃은 미국보다 유럽이 항상 느림
이런 논리라면 Microsoft Office 의존도 문제 삼을 수 있고, LibreOffice 쓰는 기관도 있지만 완벽한 대체가 아님
Dell 등 미국 PC 기업에 대한 의존도 마찬가지
Microsoft가 미국 CLOUD Act 대상이라 정책입안자들이 주목하는 것임, 본질은 반-Azure가 아니라 민감 정보 직접 통제 쪽임
EU와 미국 간 개인정보 및 데이터 보호에 대한 인식 차이는 계속 악화 추세임
저렴한 가격 위해 모든 지점에서 비용 아끼는 경향이 강함
목재 건물에 화재진압설비도 없어서 데이터센터가 전소했고 수많은 기업 데이터 날린 사건이 있음
참고: https://datacenterdynamics.com/en/opinions/…
Microsoft도 별반 다르지 않음 : https://geekwire.com/2018/…
캐나다에 있어도 텍사스 데이터센터 외엔 백업 도메인 컨트롤러 없어서 Azure DevOps 접속 못했던 적 있음
OVH도 이번 사건에서 교훈 얻어서 EU 투자로 앞으로 서비스 개선 기대함
다만 Azure 최근 보안 문제와 비교해 보면, Microsoft도 많이 허술해짐
그렇다고 EU가 자국 서비스를 더 많이 써야 한다는 데에는 동의함, 이런 계기로 OVH도 결국 발전할 기회임
전부 세척 후, 언론플레이 한 다음 "잘 세척했다" 선언식
내 입장에서 그렇게 하는 곳은 절대 신뢰 못하겠음
테크 CEO들이 이쪽(미국 행정부)과 너무 밀착하자, EU 입장에선 독립 필요성을 느끼게 되는 계기가 되었을 것임
앞으로 더 많은 나라들이 따라갈 수도 있음
각국 자원이 부족한 국가는 특히 인프라 다각화에 관심 높아질 수 있음
미국이 고립된다면 테크업계도 같이 위험해질 수밖에 없음, 결국 자기 탓이 될 거임
주권 공급망이 없다면 내 입장에서 차라리 중국보단 미국이 나음
이것만이 절대적 이유는 아니지만, 점점 더 많은 세력이 있다고 체감함
가장 큰 두 어려움은
저희 회사는 유럽 프로바이더(Hetzner 기본, 조건에 따라 온프레미스도 가능)에 bare-metal Kubernetes 배치 서비스를 하며, DevOps 엔지니어와 마이그레이션 플래닝도 지원 중
특히 중소기업/스타트업들이 보다 쉽게 전환하도록 실무 엔지니어와 융합해 문제 해결 지원
지속적 개발과 병행해 이관할 수 있게 돕고 있음
더 궁금하면 adam@ 도메인으로 연락주길
홈페이지 : https://lithus.eu
신규 계정이면 지원팀에 프로젝트 설명하고 예산 관리 계획 제출해야 함
저렴한 서비스 먼저 쓰다 생산성 저하로 오히려 총비용 늘 수도 있는데, 미수금 우려 때문인지 선불이나 예치금도 안 받으려 해서 답답했음
객체스토리지와 온디맨드 컴퓨팅 쓰고 싶었지만 이 정책이 완전한 방해 요소였음
실제로 해보면 가능성 확인 가능
다들 이 방식으로 다시 되돌아가면 재밌을 것 같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