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가 올해 1분기 글로벌 스마트폰 시장에서 점유율 1위로 올라섰다. 애플이 미국발 관세 폭탄을 앞두고 출하량을 대폭 늘리고 이례적으로 신제품을 출시했지만, 갤럭시 S25 시리즈를 앞세운 삼성을 넘지 못했다.
17일 시장조사업체 카운터포인트리서치에 따르면 지난 1분기 삼성전자의 글로벌 스마트폰 점유율(출하량 기준)은 20%로 애플(19%), 샤오미(14%) 등을 제쳤다. 중국 오포와 비보는 각각 8% 점유율로 4·5위에 랭크됐다.
애플은 통상 신제품 출시 이벤트가 있는 9월부터 많이 팔려 4분기에 점유율 1위로 올라선다. 지난해 4분기에도 애플(23%)이 삼성(16%)을 따돌렸다. 하지만 4분기를 제외한 전분기 스마트폰 점유율 1위는 통상 삼성이 차지하고 있다.
올 들어서 애플은 이례적으로 지난 2월 신제품(아이폰 16e)을 내놓고, 출하량을 전년 동기 대비 14% 늘렸다. 미국 정부가 중국산 제품에 부과하는 관세를 피하기 위해 인도 공장을 주말까지 가동, 지난달에만 1~2월 두 달간 물량을 합친 것과 같은 20억달러어치의 아이폰을 미국으로 들여왔다.
이에 대해 박진석 카운터포인트 연구원은 “애플이 1분기에 신제품을 출시하는 것은 드문 일이지만, 삼성은 갤럭시 S25와 새로운 A시리즈 출시로 이를 방어했다”고 설명했다.
역대급 인공지능(AI) 기능을 앞세운 갤럭시 S25는 역대 갤럭시 시리즈 중 국내 판매량 100만 대를 최단 기간 돌파했다. 삼성전자는 AI 기능을 고도화하며 AI폰 업체로서 입지를 다지고 있다. 전 세계 주요 AI 모델을 갤럭시AI 생태계로 끌어들이는 것이 대표적이다.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삼성은 구글의 생성형AI 제미나이에 이어 AI검색 스타트업 퍼플렉시티의 AI비서를 갤럭시에 적용하는 방안을 논의하고 있다.
삼성전자는 올 2분기 초슬림 스마트폰 갤럭시 S25 엣지, 3분기 폴더블 신제품을 출시하며 글로벌 시장 장악력을 키운다는 계획이다. 두께가 5.8㎜에 불과한 것으로 알려진 갤럭시 엣지는 이르면 다음달 국내와 중국에서 먼저 선보인다.
박의명 기자 uimyu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