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AI) 활용이 확대되면서 미국 실리콘밸리의 빅테크기업 일자리가 양극화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AI 관련 부서에서조차 AI 에이전트 자동화가 기존 인력을 대체하는 가운데, 최상위 AI 과학자들은 수천억원대 보상을 받고 있다.
25일 뉴스1 등에 따르면 메타는 회사의 전체 AI 프로젝트를 총괄하는 '메타초지능연구소'(Meta Superintelligence Labs·MSL)에서 약 600명을 감원한다고 발표했다.
MSL 조직은 올해 6월30일 출범됐고, 8월19일에 △TBD랩 △제품팀 △인프라팀 △페이스북인공지능연구소(FAIR) 등 4개 팀으로 재편했다.
이번 감원은 FAIR·제품팀 등 인프라 부서에서 이뤄진다. 메타 측은 이번 감원을 두고 "최근 3년간 인력 확충으로 조직이 비대해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이라며 "감원이 AI 사업 축소를 의미하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실제 MSL이 출범된 이후 영입된 TBD랩 소속 인재들은 감원 대상에서 제외됐다.
마크 저커버그 페이스북 최고경영자(CEO)는 MSL을 출범하면서 '실리콘밸리 인맥왕'으로 통하는 알렉산더 왕을 메타 최고AI책임자(CAIO) 겸 MSL 리더로 임명하고 인재 영입에 나선 바 있다. 인력을 감축하는 와중에도 저커버그와 왕 전 CAIO는 최고 수준 AI 과학자들에게 파격 보상 패키지(최대 4년간 2억5000만 달러 등)를 제시하며 영입을 지속하고 있다.
대규모 감원은 메타에서만 일어나고 있는 건 아니다. 아마존은 2027년까지 2033년까지 업무 75%를 자동화해 총 60만명의 채용을 회피하겠다는 계획을 세웠다. 인텔도 연말까지 약 2만4000~2만5000명(약 22~24%)의 인력을 감축한다고 지난 7월에, 마이크로소프트(MS)는 전체 직원의 3%인 약 6000명을 조정한다고 5월에 각각 발표한 바 있다.
업계 관계자는 "올해 글로벌 IT 업계서만 18만 명 이상이 기존 일자리를 떠난 것으로 나타난다"며 "AI 핵심 인재에 투입하는 비용을 충당하고자 기존 인력을 AI 에이전트로 자동화하는 감원이 빈번해지고 있다"고 말했다.
한경우 한경닷컴 기자 case@hankyung.com

11 hours ago
1








![엄지성 이어 조규성·이한범도 포스텍 울렸다! 미트윌란, 노팅엄 원정서 3-2 승리…포스텍의 노팅엄, ‘패패무무패패’ 멸망 [유로파리그]](https://pimg.mk.co.kr/news/cms/202510/03/news-p.v1.20251003.f2964094c0e0447f84af28c5f48d0e9a_R.jpg)







English (U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