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5세 정년연장 '멀티트랙'에 답있다

3 hours ago 1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한국노총과 민주노총이 정년 65세 연장을 요구하며 국회에 법안 처리를 요청함에 따라 다시 정년 연장 논의가 시작되었다.

지난해 65세 이상 인구가 20%를 넘어 초고령사회에 진입한 한국에서 정년 연장 검토는 고용과 연금 문제의 복합적 요인에 의해 촉발되었다.

그러나 일률적인 정년 연장이 청년 고용 위축을 초래할 수 있다는 우려로 인해 다양한 고용 방식을 병행하는 '멀티 트랙' 해법이 대안으로 부각되고 있다.

회원용

핵심 요약쏙은 회원용 콘텐츠입니다.

매일경제 최신 뉴스를 요약해서 빠르게 읽을 수 있습니다.

임금구조 놔둔채 5년 일률 연장 땐 年 30조 부담 '충격'
日처럼 ① 연장 ② 폐지 ③ 재고용, 기업에 선택지 줘야

한국노총과 민주노총이 정년을 65세로 연장하는 법안을 연내 처리해달라고 국회에 요구하면서 한국 사회에 '뜨거운 감자'가 하나 더 등장했다. 2013년 법정 정년을 60세로 끌어올린 지 12년 만에 정년 논쟁에 다시 불이 붙은 셈이다.

당시에도 반대 목소리가 나왔지만 고령화 시대에 선제적으로 대응하는 게 필요하다는 논리가 우위를 점했다. 이에 따라 2016년부터 단계적으로 60세 정년 의무화를 시행했다. 실제로 정년 연장이 이뤄진 지 10년이 안 돼 다시 이 같은 논의가 고개를 든 것은 한국이 너무 빠르게 늙어가기 때문이다.

한국은 지난해 65세 이상 인구가 전체의 20%를 넘어서면서 공식적으로 초고령사회에 진입했다. 연금 수급 연령이 2033년 65세로 높아져 소득 공백기가 늘어나는 점도 정년 연장 검토를 촉발했다. 9일 정치권에 따르면 최근 출범한 더불어민주당 정년연장특별위원회는 이번주부터 본격적으로 논의를 시작한다. 특위 관계자는 "65세 정년을 목표로 하겠다는 전제 외에는 모두 재검토한다는 계획"이라면서 속도 조절을 시사했다. 특위에서는 다양한 재고용 제도의 병행 여부와 정년 연장 시점 등을 협의할 것으로 보인다.

정년 연장과 관련해 해법을 찾아야 한다는 데는 공감대가 존재하는 분위기다. 그러나 노동계의 '입법 청구서'를 두고는 신중론이 커지고 있다. 일률적인 정년 연장은 청년 고용 위축을 부를 수 있고 기업도 부담을 감내할 수 없다는 이유에서다. 따라서 고용 방식을 다양화하는 '멀티 트랙' 해법이 힘을 얻는다.

지난해 말 한국경제인협회가 김현석 부산대 교수에게 의뢰한 연구용역 보고서에 따르면 법적 정년이 65세로 늦춰지면 60~64세 근로자에 대한 고용 연장 비용이 연간 30조2000억원에 달할 것으로 추산됐다.

임금과 국민연금 등 4대 보험 부담을 합한 결과로 직접비용 27조2721억원, 간접비용만 2조9248억원으로 추정됐다. 김 교수는 매일경제 통화에서 "정년 연장을 일률적으로 적용하면 충격이 클 수밖에 없다"고 강조했다.

박지순 고려대 노동대학원 교수는 "기업·업종마다 상황이 다양한데 일률적인 입법을 강행하겠다는 것은 전근대적 인식"이라며 "흑묘백묘의 실용적 사고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먼저 초고령사회에 진입한 일본은 정부가 2013년에 이미 65세까지 고용을 의무화했으나 △정년 연장 △정년 폐지 △재고용 등 다양한 선택지를 부여했다.

[김명환 기자 / 곽은산 기자 / 최예빈 기자]

기사 속 종목 이야기

  • 삼성전자

    005930, KOSPI

    97,900 - 1.31%
  • LG화학

    051910, KOSPI

    382,000 - 0.91%
  • 현대차

    005380, KOSPI

    264,000 - 1.86%
  • CJ대한통운

    000120, KOSPI

    83,400 + 1.34%

주의사항 : 본 서비스는 AI의 구조적 한계로 인해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모든 내용은 투자 권유 또는 주식거래를 목적으로 하지 않습니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

좋아요 0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