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차규근 조국혁신당 의원실이 국토교통부로부터 자금조달계획서를 받아 갭투자로 의심할 수 있는 조건에 해당되는 자료를 분석한 결과 지난달 서울 갭투자 의심 건수는 179건으로 집계됐다. 이는 6월(1369건) 대비 87% 감소한 수치다. 임대보증금을 승계받고 금융기관의 대출을 받았으며, 입주계획을 임대 목적이라고 한 거래를 갭투자 의심 거래로 봤다.
구별로 보면 25개 중 24개 지역에서 갭투자 의심 건수가 줄었다. 특히 강남권에서는 강남구 갭투자 의심 건수가 6월 13건에서 지난달 0건으로 하락했다. 같은 기간 서초구는 18건에서 4건으로, 송파구도 18건에서 4건으로 감소했다. 마용성(마포·용산·성동구) 중에서는 성동구가 6월 196건에서 7월 11건으로 가장 큰 하락 폭을 기록했다. 이어 마포구가 150건에서 12건, 용산구는 51건에서 13건으로 줄었다. 박원갑 KB국민은행 부동산 수석전문위원은 “대출규제 이후 시장이 관망세로 돌아서면서 갭투자하는 수요가 위축되는 경향을 보이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임유나 기자 imyou@donga.com
©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좋아요 0개
- 슬퍼요 0개
- 화나요 0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