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만원이면 일본 여행 갈 수 있다”…지진 괴담에 항공권 가격 ‘뚝’

9 hours ago 3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7월에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는 일본 대지진설에 따라 국내 항공 및 여행업계가 주목하고 있다.

저비용항공사(LCC)의 편도 항공권 가격은 5만∼7만원으로 작년 40만원대의 왕복 티켓과 비교해 저렴해졌지만, 여행 계획 변경을 고려하는 여행객들이 늘고 있다.

일본 기상청은 이러한 대지진설에 대해 과학적 근거가 없다며 헛소문이라고 발표했으며, 홍콩의 항공사들은 일본 노선 운항을 중단하는 등 반응을 보이고 있다.

회원용

핵심 요약쏙은 회원용 콘텐츠입니다.

매일경제 최신 뉴스를 요약해서 빠르게 읽을 수 있습니다.

작년 40만 원대였던 것과 대조
5월 방일 홍콩인도 11.2% ‘뚝’

인천국제공항에 일본으로 떠나는 여행객들이 출국 준비를 하고 있다. 사진과 기사는 관련 없음. [이승환 기자]

인천국제공항에 일본으로 떠나는 여행객들이 출국 준비를 하고 있다. 사진과 기사는 관련 없음. [이승환 기자]

‘7월 일본 대지진설’에 국내 항공·여행업계도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4일 국내 여행업계에 따르면 이날 출발을 기준으로 인천발 나리타행 저비용항공사(LCC)의 편도 항공권은 5만∼7만원 수준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7월 왕복 항공권이 40만원대까지 올랐던 것과 비교된다.

항공업계는 엔화 가치 상승, 일본 노선 공급량 증가, 대지진설 등이 복합적인 영향으로 보고 있지만 누리꾼 등의 반응은 사뭇 다르다.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는 지진을 우려하며 여행 계획을 변경했다는 이들의 사례가 잇따르고 있다. 엑스(X·옛 트위터) 이용자 ‘pal***’은 “예언은 예언일 뿐이지만 조심해서 나쁠 것 없다. 일본 여행 생각하고 있다가 우연히 접한 정보로 계획을 변경했다”며 “예언이 빗나가길 바란다”고 적었다.

일본 만화책 표지에 나온 ‘대재해는 2011년 3월’. [사진 출처 = 알라딘 갈무리]

일본 만화책 표지에 나온 ‘대재해는 2011년 3월’. [사진 출처 = 알라딘 갈무리]

이번 괴담은 2021년 재출간된 일본 만화 ‘내가 본 미래 완전판’에서 비롯됐다. 예지몽을 자주 꾼다는 만화가 다쓰키 료가 꿈에서 본 내용을 바탕으로 1999년 처음 출간한 바 있다.

출간 당시에는 큰 주목을 받지 못했지만 2011년 동일본대지진 이후 “대재해는 2011년 3월”이라는 만화의 표지 문구가 알려지며 재조명됐다. 절판된 원작은 중고 시장과 경매 사이트에서 100만 원이 넘는 가격에 거래됐고, 다쓰키를 사칭한 이들이 등장하기도 했다.

다쓰키는 각종 논란을 해소하고자 2021년 완전판을 출간하면서 “진짜 재해는 2025년 7월에 일어난다”는 새로운 예언을 추가했다. 그는 일본과 필리핀 사이 해저에서 발생한 대폭발로 초대형 쓰나미가 태평양 연안 국가들을 덮칠 것이라고 주장했다.

일본 기상청은 다쓰키의 대지진설에 대한 과학적 근거가 없다는 입장이다. 지난달 13일 노무라 료이치 일본 기상청 장관은 기자회견에서 대지진설에 대해 “헛소문이라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특히 홍콩은 유독 일본 대지진설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다. 지난 2일 홍콩 그레이터베이항공은 오는 9월 1일부터 홍콩과 일본 소도시 2곳을 각각 잇는 정기 노선 운항을 당분간 중단하기로 했다.

교도통신에 따르면 이 항공사는 홍콩에서 일본 대지진설이 확산해 탑승객이 급감했고 실적이 악화해 해당 노선을 유지하기 힘들어졌다는 설명이다.

앞서 이 항공사는 같은 이유로 지난 5월 홍콩과 도쿠시마, 센다이를 잇는 항공편을 일부 감편한 바 있다.

5월 일본을 찾은 홍콩인 수는 작년 같은 달과 비교해 11.2% 감소했다. 주요 국가·지역 중 홍콩만 유일하게 일본 방문자가 줄었다.

같은 달 주일 중국대사관이 일본 거주 자국민들을 상대로 대지진에 주의할 것을 당부하면서 일본 내 부동산 구입도 신중하게 판단할 것을 권고했다는 보도도 나왔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

좋아요 0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