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청이 30일 발표한 ‘3월 산업활동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전산업 생산은 한 달 전보다 0.9% 증가했다. 올 1월 1.6% 감소했던 전산업 생산은 2월(1.0%)에 이어 두 달 연속 증가세를 이어갔다.
업종별로는 서비스업(―0.3%), 건설업(―2.7%)에서 생산이 줄었지만 광공업(2.9%), 공공행정(4.5%)에서 전달보다 늘었다. 광공업은 제조업(3.2%)을 중심으로 생산이 늘어났다. 특히 반도체 생산이 13.3% 늘었다. 2023년 8월(13.6%) 이후 19개월 만에 최대 증가 폭이다. 의약품(11.8%)과 전자부품(7.8%) 생산은 늘었으나 기계장비(―3.1%), 석유정제(―9.3%) 등 업종은 생산이 줄었다.
기획재정부 관계자는 “미국의 반도체 품목별 관세 예고에 따른 ‘밀어내기 효과’가 일부 있을 수 있다”며 “이외에도 지속적인 AI 반도체 수요, 범용 메모리 쪽 단가 하락에 따른 생산 증대 영향도 있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서비스 소비를 뜻하는 서비스업 생산은 전달보다 0.3% 감소했다. 도소매업 생산은 3.5% 감소하며 2월의 회복세를 이어가지 못한 채 다시 감소세로 돌아섰다. 금융·보험(―2.1%), 정보 통신(―2.1%) 등 업종도 생산이 줄었다.
상품 소비 동향을 보여주는 소매판매도 전달보다 0.3% 감소했다. 음식료품 등 비내구재(2.8%), 의복 등 준내구재(2.7%)에서 판매가 늘었지만 통신기기·컴퓨터 등 내구재(―8.6%)에서 대폭 감소했다.
다만 전년 동월과 비교했을 때 소매판매는 1.5% 증가했다. 2023년 6월(1.5%) 이후 21개월 만에 최대 증가 폭이다. 이두원 통계청 경제동향통계심의관은 “소매판매 기준으로 보면 그동안의 감소 추세는 일단 진정된 것으로 보인다”며 “1분기(1~3월) 전기자동차 보조금 집행과 휴대전화 신제품 출시 등의 영향이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투자 부문에서는 설비투자가 전달보다 0.9% 줄었다. 자동차 등 운송장비(3.4%)에서 투자가 늘었지만 농업·건설·금속기계 등 기계류(―2.6%)에서 투자가 감소했다. 현재 경기 상황을 보여주는 동행종합지수 순환변동치는 전달보다 0.3포인트 상승하며 2개월 연속 회복세를 보였다. 향후 경기 국면을 예고해주는 선행종합지수 순환변동치도 0.2포인트 상승하면서 두 달 연속 올랐다. 이 심의관은 “반도체를 중심으로 생산 호조세가 나타났지만 대내외 불확실성 등은 고려해야 한다”고 말했다.세종=김수현 기자 newsoo@donga.com
- 좋아요 0개
- 슬퍼요 0개
- 화나요 0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