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단비까지 도운 경북 진화작전 … 이제 지리산 주불만 남았다

2 days ago 6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경상북도 의성군의 산불 주불 진화가 완료된 가운데, 28일 농민들이 화재 피해를 입은 마늘밭에서 밭일을 하고 있다.

산불 피해가 컸던 경북 5개 시군에서 적은 양의 비가 내리며 산불 진화에 유리한 환경이 조성되었고, 헬기와 인력을 총동원하여 빠른 시간 내에 주불이 진화되었다.

이번 산불로 인해 주택 2219채가 파손되고 3만6674명이 대피했으며, 경북 당국은 이재민을 위한 긴급 재난지원금과 주거시설 마련을 계획하고 있다.

회원용

핵심 요약쏙은 회원용 콘텐츠입니다.

매일경제 최신 뉴스를 요약해서 빠르게 읽을 수 있습니다.

일주일만에 주불 진화
산불약해진 골든타임에 총력전
연무 사라지며 헬기 88대 활약
지리산 지역에 인력·장비 집중
주한미군 헬기까지 지원 나서
경북道, 1인당 30만원 지원금

마늘 심는 농민·잔불 정리하는 해병 … 잿더미 위에서 삶은 계속된다 경상북도 의성군 산불 주불 진화가 완료된 가운데 28일 의성군 점곡면 윤암리 마늘밭에서 농민들이 밭일을 하고 있다. 산불에 검게 그을려 폐허가 된 마늘밭 옆 비탈이 화재가 휩쓸고 간 참상을 여실히 보여주고 있다.오른쪽 사진은 28일 오후 경상북도 영덕군 천전리 야산에서 해병대 1사단 대원들이 잔불 정리 작업을 하는 모습.    연합뉴스

마늘 심는 농민·잔불 정리하는 해병 … 잿더미 위에서 삶은 계속된다 경상북도 의성군 산불 주불 진화가 완료된 가운데 28일 의성군 점곡면 윤암리 마늘밭에서 농민들이 밭일을 하고 있다. 산불에 검게 그을려 폐허가 된 마늘밭 옆 비탈이 화재가 휩쓸고 간 참상을 여실히 보여주고 있다.오른쪽 사진은 28일 오후 경상북도 영덕군 천전리 야산에서 해병대 1사단 대원들이 잔불 정리 작업을 하는 모습. 연합뉴스

경상북도 의성군 산불 주불 진화가 완료된 가운데 28일 의성군 점곡면 윤암리 마늘밭에서 농민들이 밭일을 하고 있다. 산불에 검게 그을려 폐허가 된 마늘밭 옆 비탈이 화재가 휩쓸고 간 참상을 여실히 보여주고 있다.오른쪽 사진은 28일 오후 경상북도 영덕군 천전리 야산에서 해병대 1사단 대원들이 잔불 정리 작업을 하는 모습. 연합뉴스

경상북도 5개 시군을 불바다로 만든 산불이 지난 27일 밤부터 다음날 새벽 사이에 내린 '단비' 덕분에 주불 진화를 완료하고 완전 진화를 눈앞에 뒀다. 밤사이 산림을 적신 비의 영향으로 산불 확산 속도가 더뎌진 데다 건조했던 대기가 촉촉해지면서 산과 산을 넘나들며 불을 번지게 하는 '비화(飛火) 현상'까지 사라진 덕분이다. 산불 진화에 유리한 환경이 갖춰진 상황에서 '골든타임'을 놓치지 않고 주불 진화에 총력을 기울인 산림당국의 노력도 빛을 발했다. 이제 남은 '큰불'은 경상남도 산청 인근에서 지리산을 위협하고 있는 산불이다.

28일 산림당국에 따르면 산불 피해를 본 경북 5개 시군에는 전날 오후부터 시작해 밤사이 1~3㎜ 비가 내렸다. 비록 적은 양이었지만 그야말로 단비였다. 이번 비로 헬기 운용에 장애로 작용하는 연무까지 많이 사라져 조종사들의 시야 확보도 유리해졌다.

이날 찾아온 기회에 산림당국은 일출과 동시에 진화를 위한 총력전에 나섰다. 진화 헬기 88대와 진화 인력 5500여 명, 진화 장비 695대 등을 현장에 투입해 시군마다 동시다발적으로 진화 작업을 벌였다. 결국 이날 오후 2시 30분께 영덕을 시작으로 오후 5시께 영양, 의성, 청송, 안동 등 5개 시군 전 지역에서 주불 진화를 완료했다.

경남 산청·하동 산불도 '지리산 주불 잡기'에 막바지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소방당국은 이날 정오를 기해 남쪽에 위치한 하동 지역 주불을 완전히 껐다. 이후 하동에 투입된 진화 인력과 장비를 북쪽 지리산 권역에 대거 투입하면서 추가 확산을 막아냈다. 이날 주한미군이 지원한 치누크(CH-47) 등 헬기 43대와 1500여 명의 인력 및 장비가 지리산권 산불에 집중 투입됐다.

경남도는 자체 보유한 조류인플루엔자 등에 사용하는 동물방역 방제기와 민간 임대 살수차까지 총동원했다. 현재 지리산권역 화선도 대폭 줄고 북풍으로 바람 방향이 바뀌면서 지리산 방향으로 뻗치던 불길이 다소 주춤해져 주불 진화를 위한 '호기'가 갖춰진 상태다. 소방당국은 지리산에 구축한 산불 방어선을 기점으로 진화 장비와 인력을 대거 투입해 주불 잡기에 나섰다.

산림청에 따르면 이날 오후 5시 기준 산불영향구역 면적이 경북 5개 시군의 경우 총 4만5157㏊, 경남 산청·안동은 1785㏊로 집계됐다. 전날 진화가 완료된 울산 울주 994㏊를 합치면 영남 산불영향구역 전체 면적은 총 4만7936㏊로, 서울시 전체 면적의 80% 규모다.

영남 대부분 지역에서 주불 진화가 완료됐지만 산림당국의 긴장감은 여전하다. 당분간 비 소식이 없어 건조한 날씨가 이어질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여기에 강풍이 불 경우 자칫 불씨가 살아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산림당국은 남은 불 진화와 뒷불 감시에 총력을 기울일 계획이다.

이번 산불로 경북에서만 주택 2219채가 파손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 전체 대피 인원은 3만6674명으로 이 중 6200여 명이 여전히 집으로 돌아가지 못하고 대피소에서 생활하고 있다. 이에 경북은 산불 이재민들을 위해 긴급 임시주거시설을 신속히 마련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산불 피해 5개 시군 27만여 명에게는 1인당 30만원의 긴급재난지원금도 지급하기로 했다. 경북은 도지사를 본부장으로 하는 '산불피해대책본부'를 구성해 운영에 들어갔다. 이철우 경북도지사는 "이재민과 피해 주민들에게 필요한 자원을 신속하게 지원해 빠른 피해 복구와 일상 회복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안동 우성덕 기자 / 산청 최승균 기자]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

좋아요 0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