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년전엔 29년 기다려, 이번엔 2년만에 왕좌 탈환

11 hours ago 3

LG, 한화 꺾고 한국시리즈 우승
김현수, 5할대 맹타 MVP 차지… 톨허스트, 1차전 이어 또 승리투수
염경엽, 감독으로 2번째 우승 맛봐… ‘왕조 건설’ 향해 한발 더 나아가

LG, 한국시리즈 우승 ‘V4’

LG, 한국시리즈 우승 ‘V4’


2년 전엔 29년을 기다렸다. 이번엔 2년 만에 다시 정상에 섰다. 투수 앞 땅볼을 친 한화 5번 타자 채은성(35)을 마무리 투수 유영찬(28)이 1루에서 잡아내면서 LG가 2025년 프로야구 챔피언에 등극했다.

LG는 31일 대전 한화생명 볼파크에서 열린 2025 한국시리즈(7전 4승제) 5차전에서 한화를 4-1로 꺾었다. 그러면서 시리즈 전적 4승 1패로 1990, 1994, 2023년에 이어 통산 네 번째 우승 트로피를 들어 올렸다. 정규시즌을 1위로 마친 LG는 이번 통합우승으로 옛 현대와 함께 한국시리즈 최다 우승 공동 5위가 됐다.

LG 베테랑 김현수(37·사진)는 두산 시절 한솥밥을 먹었던 김경문 한화 감독에게 또 한번 준우승의 아픔을 안겼다. 김현수는 두산 유니폼을 입고 있던 2007, 2008년 한국시리즈 때 2년 통산 타율 0.143(42타수 6안타), 0홈런, 1타점에 그쳤다. 2008년 5차전 9회초에는 1사 만루 기회에서 시리즈 패배를 확정하는 병살타를 치기도 했다. 그래서 얻은 별명이 ‘가을맹구’였다. 같은 기간 정규시즌에 타율 0.323을 기록한 김현수가 한국시리즈만 되면 부진에 빠지면서 김 감독 역시 2년 연속 패장이 되어야 했다.

그러나 김현수는 올해 한국시리즈에서는 타율 0.529(17타수 9안타), 1홈런, 8타점, 3득점, 5볼넷으로 LG의 우승을 이끌었다. 전날 4차전 3-4로 뒤진 9회초에 5-4로 경기를 뒤집는 결승타를 기록했던 김현수는 이날도 1회초에 선취 타점을 올렸고 6회초에도 3-1로 앞서가는 적시타를 때렸다. 김현수는 이번 한국시리즈에서 포스트시즌 통산 안타를 105개로 늘리며 홍성흔(101개)을 넘어 이 부문 1위로 올라섰다. 포스트시즌 통산 149루타 역시 홍성흔과 공동 1위 기록이다.

김현수는 이날 기자단 투표에서 전체 89표 중 61표(68.5%)를 받아 한국시리즈 최우수선수(MVP)로 뽑혔다. 김현수는 두산에서 보낸 마지막 시즌인 2015년을 포함해 개인 세 번째로 챔피언 반지를 끼게 됐는데 한국시리즈 MVP를 차지한 건 이번이 처음이다. 김현수는 “예전에는 타석마다 뭔가를 하려다 힘이 들어갔지만 이제는 기회 한 번만 잘 살리면 된다는 걸 안다”면서 “2008년 병살타 기억을 이제야 완전히 지울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LG 선발 투수 톨허스트(26)는 이날 7이닝을 1실점으로 막고 1차전에 이어 또 한번 승리투수가 됐다. 5차전 데일리 MVP도 톨허스트 차지였다. LG가 8월 3일 에르난데스(30)의 대체 선수로 영입한 톨허스트는 정규시즌 8경기에 나와 6승 2패 평균자책점 2.86을 기록하며 LG의 한국시리즈 직행에 앞장섰다. 그는 한국시리즈에서도 2승을 거두면서 ‘우승 청부사’ 임무를 완수했다.

반면 한화 선발 투수 문동주(22)는 1회초에 1실점한 뒤 오른쪽 어깨 통증을 호소하며 2회초 시작과 함께 경기에서 빠졌다.

우승 헹가래
염경엽 LG 감독(위)이 31일 대전 한화생명 볼파크에서 끝난 2025 프로야구 한국시리즈에서 우승을 차지한 뒤 선수단에게 헹가래를 받고 있다. LG는 이날 한화를 4-1로 꺾고 시리즈 전적 4승 1패로 2023년 이후 2년 만에 다시 한국시리즈 정상에 섰다. 대전=뉴스1

우승 헹가래 염경엽 LG 감독(위)이 31일 대전 한화생명 볼파크에서 끝난 2025 프로야구 한국시리즈에서 우승을 차지한 뒤 선수단에게 헹가래를 받고 있다. LG는 이날 한화를 4-1로 꺾고 시리즈 전적 4승 1패로 2023년 이후 2년 만에 다시 한국시리즈 정상에 섰다. 대전=뉴스1
염경엽 LG 감독은 2년 만에 다시 팀을 정상으로 이끌면서 LG 사령탑으로는 유일하게 한국시리즈에서 두 번 우승하는 기록을 남겼다. 프로야구 전체로는 9번째 한국시리즈 다승 감독이다. 시상식에서 마이크를 잡은 염 감독은 “시즌을 치르며 어려울 때도 있었는데 항상 뒤에서 뜨거운 응원을 해주신 팬들 덕분에 오늘의 영광이 있었다. 오늘의 주인공은 LG 팬 여러분”이라고 말해 관중의 환호를 이끌어 냈다. 이날도 만원 관중(1만6750명)이 경기장을 찾으면서 포스트시즌 37경기 연속 매진 기록이 이어졌다. 염 감독은 계속해서 “내년에도 이 자리에 설 수 있도록 준비 잘하겠다”고 말했다.

LG는 2023년에 이어 2년 만에 다시 정상에 오르며 ‘왕조 건설’을 향해 한발 더 나아갔다. 2003∼2012년 10년 연속 포스트시즌 진출에 실패하며 암흑기를 보냈던 LG는 최근 7년 연속 ‘가을 잔치’ 초대장을 받으며 상위권을 유지하고 있다. 김진성(40), 박해민(35) 등 베테랑부터 신인 김영우(20)에 이르기까지 신구 조화가 잘 이뤄지고 있고, 문보경(25)과 신민재(29) 등은 치열한 경쟁을 통해 완전한 주전으로 발돋움했다. 마운드에서는 손주영(27)과 송승기(23) 등이 10승 선발 투수로 거듭났다. 투수와 타자 모두 LG는 10개 구단을 통틀어 가장 두꺼운 선수층을 자랑한다. 지금 추세라면 2020년대는 ‘LG 왕조’의 시대가 될 가능성이 높다.

대전=황규인 기자 kini@donga.com
대전=조영우 기자 jero@donga.com

©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지금 뜨는 뉴스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