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당' 中 억지 "해피 추석? 한국 문화 도용 행위" 분노... 맨시티 韓 축하 영상에 '발끈'

8 hours ago 1

'해피 추석'이라고 외치는 맨체스터 시티 공격수 엘링 홀란. /사진=맨체스터 시티 공식 사회관계망서비스(SNS) 영상 갈무리

잉글랜드 프리미어리그 명문 구단 맨체스터 시티가 한국 팬들에게 전한 추석 인사가 중국 온라인 매체의 억지 주장으로 번졌다. 중국 현지에서는 이를 두고 문화 도용을 주장하고 있다.

중국 인터넷 매체 넷이즈는 6일(한국시간) "맨체스터 시티가 한국인들에게 중추절 인사를 전했다"며 "이는 중국 문화를 도용한 한국의 행위를 옹호하고, 문화 도용을 조장하는 행위"라고 주장했다.

논란의 발단은 맨체스터 시티가 공식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통해 올린 추석 인사 영상이었다. 맨시티는 한국 팬들을 위해 선수들이 한복을 입고 공기놀이를 하는 일러스트를 공개했으며, 엘링 홀란을 비롯한 몇몇 선수들이 "해피 추석"이라고 한국어로 인사하는 영상을 게재했다.

이에 넷이즈는 "한국이 중국의 중추절 문화를 오랫동안 훔쳐왔다"며 "맨시티는 이러한 한국의 행태를 지지했다. 중국 팬들은 실망했고, 구단은 중국 시장을 무시했다"고 비난했다. 또한 "중국 스폰서들이 나서서 맨시티의 행보를 바로잡아야 한다"며 불매를 선동하는 주장까지 내놨다.

넷이즈는 "맨시티의 추석 인사가 외부 세계의 비난을 불러일으켰다"며 "이 구단은 중국을 모욕하는 행위를 지지하고 있다"고 거듭 주장했다. 이어 "중국 팬들은 더 이상 맨시티를 응원하지 않을 것이며, 스폰서들도 구단에 공식 입장을 요구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맨체스터 시티 수비수 요슈코 그바르디올이 한국 팬들에게 추석 인사하고 있다. /사진=맨체스터 시티 공식 사회관계망서비스(SNS) 영상 갈무리

그러나 이러한 주장은 사실과 다르다. 한국의 추석은 중국의 중추절과 날짜는 같지만, 역사적 기원과 문화적 의미가 전혀 다르다. 두 명절 모두 음력 8월 15일 보름달을 기념하지만, 제례 방식과 명절 음식, 문화적 풍습은 뚜렷하게 구분된다.

한국의 추석은 삼국시대부터 존재한 고유한 명절이다. '삼국사기'에는 신라 제3대 유리이사금 시절 '가배'라는 명절로 불렸다는 기록이 있다. 신라 시대부터 제사와 성묘가 이어졌고, 조선 시대에는 설·단오와 함께 3대 명절로 자리잡았다. 반면 중국의 중추절은 달맞이 풍습 중심의 명절로, 조상 제사나 성묘 풍습은 문헌에서 찾아보기 어렵다.

또한 중국의 중추절은 1966년 문화대혁명 이후 명절 개념이 사실상 단절됐다가 2008년에야 법정 공휴일로 지정되었다. 그 이전까지는 월병을 먹는 날 정도로 인식돼 왔던 것이 사실이다. 반면 한국의 추석은 시대를 거치며 제사와 성묘, 송편 등 독자적 명절 문화로 발전해 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중국 내 반응은 과열되고 있다. 일부 네티즌들은 "맨시티는 중국 팬을 무시했다"며 불매 운동을 거론했고, 일부 중국 언론은 "중국 스폰서가 맨시티에 항의해야 한다"고 선동했다.

하지만 실제로 맨시티의 추석 인사 게시물은 한국 팬들 사이에서 큰 화제를 모으며 "외국 구단이 한국 전통문화를 존중했다"는 호평을 받았다. 많은 팬은 "한복을 입은 선수들의 모습이 보기 좋다"며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저작권자 © 스타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