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화 건설부문, 평택 공공하수처리시설 현대화 첫삽

3 weeks ago 8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한화 건설부문은 평택시 통복공공하수처리시설 현대화 착공 기념행사에 참석하여 총 사업비 2146억원의 현대화 사업을 알렸다.

이 사업은 기존 하수처리장을 신대동으로 통합 이전하고 지하화하며, 위에는 친환경 공원이 조성될 계획이다.

김승모 대표는 이번 사업이 노후 하수처리장 현대화의 성공적인 사례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회원용

핵심 요약쏙은 회원용 콘텐츠입니다.

매일경제 최신 뉴스를 요약해서 빠르게 읽을 수 있습니다.

2146억 규모 민간투자사업, 2028년 준공 목표
하수처리장 지하화·공원 조성으로 시민 편의 증대

지난 6일 김승모 한화 건설부문 대표(오른쪽에서 셋째)가 정장선 평택시장(넷째) 등 주요 관계자들과 시삽을 하고 있다. 한화 건설부문

지난 6일 김승모 한화 건설부문 대표(오른쪽에서 셋째)가 정장선 평택시장(넷째) 등 주요 관계자들과 시삽을 하고 있다. 한화 건설부문

한화 건설부문이 지난 6일 평택시 신대동 신대레포츠 공원에서 개최된 ‘평택시 통복공공하수처리시설 현대화 착공 기념행사’에 참석해 평택시 통복공공하수처리시설 현대화의 착공을 알렸다.

이번 사업은 평택시 통복동에 있는 기존 공공하수처리장을 신대동 일원으로 통합 이전 및 지하화하는 것이다. 지상에는 친환경 공원과 체육시설을 비롯한 휴게공간이 조성될 예정이다.

총 사업비는 2146억원이다. 사업방식은 손익공유형 민간투자사업으로 한화 건설부문 외 6개 시공사가 함께 공사를 진행한다. 한화의 자회사인 에코이앤오가 개시일로부터 30년 동안 운영할 예정이다.

통합 이전할 시설은 하수처리 용량이 하루당 10만t으로 기존 하수처리 용량(하루 7만5000t)보다 1.3배 이상 증설될 예정이다. 하수처리장으로 오수를 모아 운반하는 차집관로는 2.1㎞, 새 하수처리장과 기존 하수처리장을 연결하는 재이용관로는 1.76m 규모로 지어진다.

준공은 2028년 예정이다. 김승모 한화 건설부문 대표는 “수처리 분야 민간투자사업에서 축적된 노하우와 차별화된 기술력을 바탕으로 이번 사업이 노후 하수처리장 현대화 사업의 성공적인 추진 사례가 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한화 건설부문은 MBR 관련 공법이 적용된 하수처리장 중 국내 최대 규모인 대전하수처리장 공사를 진행 중이다. MBR 공법은 오물 등을 침전조 대신 분리막을 이용해 거르는 것으로 한화는 현재 기존 MBR 공법에서 효율성을 한층 높인 프로 MBR 공법을 자체 개발해 이용 중이다.

한화 건설부문은 국내 최초로 무중단 시공기법이 도입된 천안하수처리장의 공사도 진행 중이다. 무중단 시공기법은 공사 중에도 기존 하수처리시설을 안정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시공 기법이다. 이외에도 인천 검단, 화성, 군포 대야, 충남 서천 등 국내 10여 개소의 공공하수처리장을 준공해 운영하고 있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

좋아요 0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