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일 경제계, 경제협력 새 시대 연다…AI·수소 등 동맹 강화

1 day ago 1

제32회 한일재계회의 공동성명 채택
수소, 자원안보, AI 등 경제연계 확대
CPTPP 가입 공감…한미일 협력 강화

  • 등록 2025-10-17 오전 9:00:00

    수정 2025-10-17 오전 9:52:34

[이데일리 공지유 기자] 한일 경제계가 국교 정상화 60주년을 맞아 향후 협력을 강화하기로 했다. 인공지능(AI)·수소 등 미래 산업과 경제 연계를 강화할 수 있는 제도적 틀 마련에 뜻을 모았다. 한국의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CPTPP) 가입 필요성에도 공감했다.

류진 한경협 회장이 17일 도쿄 경단련회관에서 ‘제32회 한일재계회의’에 참석해 인사말을 하고 있다.(사진=한경협)

한국경제인협회와 일본 경제단체연합회는 17일 오전 일본 도쿄 경단련회관에서 제32회 한일재계회의를 개최하고 양국관계를 새로운 단계로 끌어올리는 내용을 담은 공동성명을 채택했다.

회의에는 류진 한경협 회장,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 김윤 삼양홀딩스 회장, 조현준 효성그룹 회장, 구자은 LS그룹 회장, 성래은 영원무역그룹 부회장, 신학철 LG화학 부회장, 최창식 DB하이텍 부회장을 비롯한 한국 측 기업인 14명과 츠츠이 요시노부 경단련 회장 등 일본측 기업인 11명이 참석했다.

류진 한경협 회장은 개회사에서 “양국이 60년간 탄탄히 다져온 신뢰 위에, 양국 관계의 새로운 미래인 ‘한일 경제협력 2.0 시대’를 개막해야 한다”며 “국제무대에서의 협력 강화가 최우선 과제”라고 말했다. 특히 수소·미래차 표준, 자원안보 등 분야에서의 한일 및 한미일 협력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류 회장은 “AI 등 첨단산업과 문화콘텐츠 산업을 비롯한 신산업 분야로 협력이 확대돼야 한다”며 “이를 위해서는 양국간 경제연계를 강화할 수 있는 제도적 틀을 마련해야 한다”고 했다.

츠츠이 요시노부 경단련 회장은 “보다 공정하고 다자적인 자유무역체제 실현을 위해 역내 포괄적 경제동반자협정(RCEP)과 CPTPP 등 경제연계협정(EPA)의 심화·확대를 함께 도모해야 한다”고 말했다. 양국은 양자 관계를 넘어 미국을 포함한 3국 간 협력을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양국 경제계는 전 세계적으로 확산되고 있는 보호주의 흐름을 비롯한 글로벌 통상환경 변화에 공동으로 대응하고, 에너지 협력과 공급망 강화 등 실질적 협력 분야를 한층 심화해 나가기로 했다. 아울러 한·미·일 비즈니스 대화를 포함한 3국 경제계 간 소통의 중요성을 재확인했다. 한·중·일 FTA와 관련해서는 무역·투자 자유화와 규범 측면에서 RCEP보다 높은 수준으로 협상을 가속화할 필요가 있다는 데 양측이 의견을 같이했다.

‘경제협력 강화를 위한 국제협력 방안’을 주제로 한 세션에서 한국의 CPTPP 가입이 이제 반드시 실행해야 할 과제라는 데 CPTPP의 핵심국가인 일본 경제계도 의견을 같이했다. 세계무역기구(WTO)가 흔들리고 있는 현 상황에서 한국의 CPTPP 가입은 글로벌 자유무역질서와 다자협력 체제 회복에 기여할 수 있다는 점에 주목했다.

양국 참석자들은 그간 한일 간 수소 협력의 필요성에 대해 여러 차례 논의가 이뤄졌으며, 정부와 민간 차원에서 협력의 큰 틀이 마련된 만큼 이제는 실질적 성과로 이어져야 한다는 데 공감대를 형성했다.

이를 위해 가장 중요한 과제로 수소의 안전성 확보가 꼽혔다. 참석자들은 충전소와 저장 설비 등 핵심 인프라에 대한 공동 실증 프로젝트 추진과 더불어 운영자 및 기술자 대상 공동 교육 프로그램 마련의 필요성을 제안했다.

양국은 또 초고령화, 재난 대응, 디지털 격차, 인재 확보, 에너지 및 공급망 등 공통 과제를 AI·디지털 기술 협력을 통해 함께 해결해 나가야 한다는 데 의견을 같이했다.

최근 양국간 활발해지고 있는 문화·콘텐츠 분야 협력과 관련해서는 글로벌 OTT를 통한 한일 공동 제작 콘텐츠의 세계시장 진출 강화 방안이 제시됐다. 음악 분야의 한일 합작 그룹의 제3국 진출, 하나의 원작을 다양한 콘텐츠로 확장하는 원 소스 멀티 유즈(OSMU) 전략을 통한 협력 필요성도 강조됐다.

한경협과 경단련은 이날 회의를 토대로 △규범 기반의 자유롭고 개방된 무역질서 유지 및 CPTPP 추진 △글로벌 통상환경 공동 대응 및 공급망 협력 △한·미·일 협력과 자유롭고 개방된 인도·태평양(FOIP) 구상 연계 강화 △APEC·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등 국제무대에서의 공조 확대 △수소 에너지 및 탄소저감 협력 △저출산·고령화·기후변화 등 공통 사회문제 공동 대응 등 내용을 담은 공동성명서를 채택했다.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