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2+2 통상협의' 시작…상호관세 25% 폐지될까

4 hours ago 3
주요 20개국(G20) 재무장관회의 및 국제통화금융위원회(IMFC)‘에 참석차 미국 워싱턴D.C를 방문중인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과 함께 24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 DC 재무부에서 열린 ’한-미 2+2 통상협의(Trade Consultation)‘에서 기념 촬영하고 있다.(왼쪽부터) 안 산업부 장관, 최 부총리, 스콧 베센트 미 재무장관, 제이미슨 그리어 미국무역대표부(USTR) 대표. (사진=기획재정부)

[이데일리 한광범 기자] 한미는 24일(현지시간) 워싱턴 DC에서 ‘트럼프발 관세’를 둘러싼 ‘2+2 장관급 통상 협의’를 개최했다.

최상목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과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이날 오전 8시 10분께부터 미국 재무부 청사에서 스콧 베선트 재무장관, 제이미슨 그리어 무역대표(USTR)와 통상 협의를 시작했다.

이날 회담에선 미국 정부가 최근 한국에 내린 관세에 대한 논의가 이뤄질 예정이다.

앞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한국을 포함한 모든 국가에 지난달 12일부터 철강·알루미늄에 대한 25% 관세, 지난 3일부터 외국산 자동차에 대한 25%의 관세를 부과했고, 지난 5일부터는 10%의 기본 관세(보편관세)도 발효했다.

트럼프 행정부는 지난 9일 한국을 포함한 57개 경제주체(56개국+유럽연합)에 차등화된 상호관세를 발효했다가, 중국을 제외한 다른 국가에 대해선 발효 13시간 만에 90일간 유예 결정을 내렸다.

우리 정부는 한국에 책정된 25%의 상호관세를 유예기간 내에 폐지하거나 최대한 낮추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최 부총리와 안 장관은 협의에서 미국 정부 의견으 청취할 예정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현재 관세 문제와 미국산 LNG 도입, 주한민국 방위비 분담금 등을 포함한 포괄적 합의를 의미하는 ‘원스톱 쇼핑’에 대한 희망을 피력하고 있다.

이미 2026년 이후분 방위비 분담금에 대해 작년에 한미간에 합의가 이뤄진 상황에서 한국의 분담금 인상을 위한 재협상을 요구하며 방위비 분담금과 관세 문제를 연결하는 구체적인 제안을 내놓을지 관심을 모은다.

베선트 장관은 전날 강연에서 “글로벌 경제관계는 안보 파트너십을 반영해야 한다고 믿는다”며 “미국이 안보와 열린 시장을 계속 제공하면 동맹국들은 공동의 방어에 대한 더 강한 헌신을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