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류 고마운 국문과…팬심이 학문적 탐구로
한국어교육 수업에도 북적 “한글교사 꿈꾸죠”
“한국어를 배우는 걸 넘어서 이제는 한국과 제 나라를 잇는 다리가 되고 싶어요.”
지난 22일 오전 10시께 찾은 고려대 국제관의 한 강의실. 이곳에서는 국어국문학과 대학원 ‘한국어문화교육학 특수연구’ 수업이 한창이었다. ‘한국어문화교육학’은 한국어가 모국어가 아닌 사람들에게 한국어를 효과적으로 가르치는 방법을 연구하는 학문이다.
이날 수업에서는 기술을 활용한 한국어 교육을 주제로 강의와 토론이 진행됐다. 학생들은 각자 읽어온 논문을 발표하며 효과적인 한국어 교육을 놓고 열띤 논의를 이어갔다.
언뜻 보면 평범한 대학원 수업 같지만, 이 수업 정원 25명 중 12명은 외국인 유학생이다. 외국인 비중이 절반에 가까운데도 강의실에는 유창한 한국어만이 오갔다.
조별 활동 시간에는 디지털 교재와 온라인 평가 도구에 관한 토론이 이어졌다. 학생들은 각자의 경험을 한국어로 공유하며 서로의 이야기를 노트북과 아이패드에 꼼꼼히 필기했다. 토론 도중 이해가 어려운 표현이 나오면 외국인 학생이 한국인 학생에게 의미를 묻기도 했다. 쉬는 시간에도 이들은 자리를 옮겨 앉아 질문을 주고받으며 자연스럽게 한국어를 익혀 나갔다.
이날 수업에 참여한 유학생 대부분은 ‘한국어 교육자’를 꿈꾸는 예비 교원들이다. 이들은 한류에 대한 관심이 한국어와 국문학에 대한 학문적 흥미로 이어졌다고 입을 모았다.
지난해 9월 석사과정을 시작한 조지아 유학생 루시슈빌리 마리암 씨(24)는 “중학생 때 한국 드라마를 보고 언어가 아름답다고 느꼈다”며 “그 관심이 이어져 대학에서 국제관계학을 전공하면서도 한국어를 제3외국어로 공부했고, 결국 국어국문학 석사과정에 진학하게 됐다”고 말했다. 그는 지금도 데이식스나 잔나비 같은 한국 밴드 음악을 즐겨 듣고, 재밌는 K드라마가 나오면 친구와 함께 보기도 한다.
일본인 유학생 기타가와 엠마 씨(23)는 “케이팝을 좋아하면서 자연스럽게 한국어 공부를 시작했다”며 “얼마 전에도 좋아하는 그룹 세븐틴의 콘서트에 다녀왔다”고 웃었다. 이어 “케이팝이 계기였지만 이제는 한국어가 일상의 중심이 됐다”고 말했다.
국내 대학에서 학위과정을 밟는 외국인 유학생이 해마다 늘어나고 있는데, 그중에서도 국어·국문학 전공의 신규 유입이 두드러진다. 한국교육개발원에 따르면 지난 4월 기준 국내 대학에서 학사·석사·박사 등 정규 학위과정을 이수하고 있는 외국인 유학생은 7770명으로 집계됐다. 2015년 2869명과 비교하면 2.7배 규모로 늘어난 것이다.
학위과정별로 보면, 학부에 재학 중인 유학생은 올해 5358명으로 2015년 1577명보다 약 240% 증가했다. 외국인 학부생이 크게 늘어나면서 대학원에서도 그 영향이 시차를 두고 나타나고 있다. 최근 10년 새 석사과정 유학생은 106%, 박사과정 유학생은 19% 각각 증가했다.
특히 대학원에선 외국인 유학생 비중이 두드러진다. 한국인 학생은 갈수록 줄어드는 반면, 그보다 더 많은 외국인 유학생이 새로 유입되고 있기 때문이다. 국문학 전공 석사·박사과정 재학생 가운데 유학생이 올해 53.5%를 차지하며 처음으로 절반을 넘었다. 학위과정별 유학생 비중은 학사 16.4%, 석사 57.3%, 박사 37.9%다.
이날 수업을 진행한 최은지 고려대 국어국문학과 교수도 이와 같은 변화를 실감한다고 말했다. 최 교수는 “이번 학기 석사과정 입학생 중 외국인 학생이 한국인보다 많다. 국어국문학 분야에서 외국인 학생이 더 많아지고 있다”며 “세계 각국의 경험과 시각을 공유할 수 있어 수업이 훨씬 다채로워지고 있다”고 말했다.
고려대는 외국인 학생들의 수요 증가에 대응해 2022년 ‘글로벌한국언어문화협동과정’을 개설했다. 이 과정은 외국인 학생만 입학할 수 있는 국어국문학 연계 교육과정으로, 2025년 10월 기준 재학생이 64명에 달한다.
한류로 시작된 관심은 이제 한국어 교육 현장으로 이어지고 있다. 한국어를 가르치는 교육자로 성장해 한국과 자국을 잇는 ‘언어 외교관’이 되고 싶다는 게 이들의 바람이다.
박사과정을 밟고 있는 대만 유학생 오패원 씨(32)는 “10년 전만 해도 대만에서 한국어 학습자가 많지 않았지만 최근 급격히 늘고 있다”며 “한국에서 배운 교육 방식을 토대로 대만에서도 체계적인 한국어 교육 커리큘럼을 만들고 싶다”고 말했다. 인도네시아 유학생 바니야 씨(24) 역시 “한국어를 통해 한국과 인도네시아를 연결할 수 있는 역할을 하고 싶다”고 했다.
학계 관계자들도 한류 열풍이 학문적 연구로 뿌리내릴 수 있도록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김종훈 고려대 국어국문학과 주임교수는 “한류에 대한 관심이 일시적인 팬심에 그치지 않고 학문적 연구로 이어질 수 있도록 K-MOOC(한국형 온라인 공개강좌)를 운영하는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