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체질 바뀐다"…엔비디아가 불러올 '장밋빛 미래'

23 hours ago 1

< 젠슨 황 만난 李 “AI 강국 되도록 역할 해달라” > 이재명 대통령이 31일 경북 경주 화백컨벤션센터(HICO)에서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와 국내 기업 총수들을 만나 기념 촬영하고 있다. 왼쪽부터 이해진 네이버 이사회 의장, 최태원 SK그룹 회장, 황 CEO, 이 대통령,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  경주=김범준 기자

< 젠슨 황 만난 李 “AI 강국 되도록 역할 해달라” > 이재명 대통령이 31일 경북 경주 화백컨벤션센터(HICO)에서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와 국내 기업 총수들을 만나 기념 촬영하고 있다. 왼쪽부터 이해진 네이버 이사회 의장, 최태원 SK그룹 회장, 황 CEO, 이 대통령,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 경주=김범준 기자

엔비디아가 2030년까지 한국 정부와 삼성, 현대자동차, SK, 네이버 등 4개 기업에 고성능 그래픽처리장치(GPU) 총 26만 개를 우선 공급한다. 최대 14조원에 달하는 규모다. 정부와 국내 기업들은 품귀 현상을 빚는 엔비디아 GPU를 조기 확보해 인공지능(AI) 기술 적용 분야에 집중 투입할 계획이다. 민간 기업을 중심으로 한 한·미 ‘AI 동맹’이 본격화하면서 한국의 주권형(소버린) AI 구축이 속도를 낼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이재명 대통령은 31일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를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가 열리고 있는 경북 경주 화백컨벤션센터(HICO)에서 만났다. 이 자리에는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 최태원 SK그룹 회장, 이해진 네이버 이사회 의장 등도 함께했다.

엔비디아는 이번 회동을 계기로 최신 GPU를 정부에 5만 개, 삼성 현대차 SK 네이버 등 4개 기업에 20만 개 이상 공급하기로 했다. 정부는 공급받은 GPU 5만 개를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 개발과 국가AI컴퓨팅센터 구축 프로젝트 등에 투입할 예정이다.

삼성은 반도체 제조 공정에서 생성되는 데이터를 AI가 실시간 수집해 활용하는 지능형 공장인 ‘반도체 AI 팩토리’에 엔비디아 GPU를 투입한다. SK도 반도체 연구개발(R&D) 및 생산 효율화에 핵심적 역할을 할 디지털 트윈과 AI 에이전트 개발에 쓸 예정이다. 현대차는 GPU를 차량 AI, 자율주행, 로보틱스 등에 활용할 계획이다.

젠슨 황 CEO는 “한국은 제조업 AI 분야에서 글로벌 리더가 될 수 있는 최적의 조건을 갖췄다”고 했다. 이 대통령은 “한국이 AI 강국이 될 수 있도록 역할을 해달라”고 했다.

AI 빅샷들과 파트너십 맺은 李…'인공지능 3대 강국' 발판 마련
GPU 확보량, AI 경쟁력의 척도…韓·美, 기업 교두보로 'AI 동맹'

엔비디아, 韓과 'AI 동맹'…GPU 26만개 공급

엔비디아가 2030년까지 국내에 우선 공급하기로 한 그래픽처리장치(GPU) 26만 개는 초대형 인공지능(AI) 데이터센터 5~6곳을 새로 지을 수 있을 만큼 많은 물량이다. 현재 한국 정부가 보유한 1만3000개와 비교하면 20배 많다. 산업계에서 “한국 AI 생태계 체질을 바꿀 토대가 마련됐다”는 평가가 나오는 배경이다. 세계적으로 비교하면 미국과 중국에 이어 세 번째로 보유 물량이 많으며 이재명 대통령이 약속한 ‘AI 3대 강국’ 도약이 실현될 것이라는 기대도 커지고 있다.

◇ 최대 14조 규모 GPU 확보

테크업계에서 GPU 확보량은 국가 AI 경쟁력을 가늠하는 척도로 판단된다. GPU는 대규모 데이터를 기존 중앙처리장치(CPU)와 달리 병렬로 동시 처리할 수 있기 때문이다. 빠른 데이터 처리가 핵심인 AI 활용 기술이 모든 분야에 적용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GPU는 AI 인프라 강국으로 도약하는 데 필수적인 장비다. 글로벌 빅테크가 앞다퉈 GPU 확보에 열을 올리는 이유다. 메타는 GPU를 약 35만 개, 오픈AI와 마이크로소프트(MS)는 각각 15만 개 보유한 것으로 추정된다.

GPU 1개당 가격은 H100, H200, B200 등 모델별로 다르지만 공급 규모를 원화로 환산하면 총액으로는 최대 14조원에 달할 것이라는 게 업계 추정이다.

정부는 GPU 5만 개를 확보해 국가 차원의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 개발과 국가AI컴퓨팅센터 구축 프로젝트에 도입할 예정이다. 엔비디아와 국책 연구기관이 협업해 슈퍼컴퓨터 및 하이브리드 양자컴퓨팅 환경 구축, 기초과학 연구에 필요한 AI 파운데이션 모델 개발 등도 병행한다.

이번 공급은 산업 전반에 연쇄적인 파급 효과를 일으킬 것으로 전망된다. 반도체산업에서는 삼성전자가 GPU를 활용해 다양한 미래 AI 사업 기회를 모색할 것으로 보인다. SK하이닉스는 HBM4 등 차세대 AI 메모리 공급을 늘리고 AI 서버용 솔리드스테이트드라이브(SSD), 전력 장치, 냉각 솔루션을 생산하는 중소 장비업체에도 대규모 수요가 생길 것으로 예상된다.

GPU를 계열사에 임대하거나 공유하면서 여러 형태의 AI 산업 비즈니스 모델을 기획할 것이 확실시된다. 자동차산업에서는 현대자동차가 자율주행용 AI 칩을 고도화하고 로보틱스 및 모빌리티 분야에서도 대규모 GPU 학습 인프라를 활용할 계획이다. 네이버는 대규모언어모델(LLM) 학습 인프라를 확충해 하이퍼클로바X 2.0 등 차세대 생성형 AI를 고도화할 것으로 전망된다.

업계 고위 관계자는 “엔비디아 GPU 25만 개의 국내 유입이 단순한 거래 이상의 의미를 지닌다”며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를 계기로 논의된 기술 협력 합의, 미국이 주도하는 ‘AI 동맹’ 전략과 맞닿아 있다”고 말했다.

◇ 화기애애했던 李대통령·젠슨 황

이 대통령은 31일 경북 경주에서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를 만나 적극적인 지원 의사를 밝혔다. 이 대통령은 “정부 입장에서 엔비디아의 한국 투자를 전폭 지원하겠다”고 했다. 이 대통령은 “대한민국은 AI 관련 시대를 가장 먼저 열어가는, 그야말로 시험지 같은 공간이자 테스트베드(시험대)”라며 “한국이 AI 글로벌 강국이 될 수 있도록 엔비디아가 역할을 해달라”고 했다. 이에 황 CEO는 “AI 미래를 한국과 함께 만들게 돼 매우 기쁘게 생각한다”고 말했다.

국내 AI 생태계 구축을 위해 세계 최대 자산운용사 블랙록, 오픈AI 등과 협력 관계를 구축해온 정부는 엔비디아의 GPU 공급이 AI 강국 도약에 날개를 다는 기폭제가 될 수 있다고 본다.

앞서 이 대통령은 래리 핑크 블랙록 회장, 샘 올트먼 오픈AI CEO와 만나 국내 AI 생태계 구축에 협조할 것을 요청했다. 김용범 대통령실 정책실장은 브리핑에서 “대한민국 AI 고속도로의 중추적 역할을 하며 새로운 AI 기업과 일자리를 창출하고 한국이 글로벌 AI 생태계 중심이 되는 전환점이 될 것”이라고 평가했다.

경주=한재영/강경주 기자 jyhan@hankyung.com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