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를 낳는 대신 반려견을 자식처럼 키우는 한국의 ‘반려동물 문화’를 외신이 주목했다.
12일(현지시각) 미국 뉴욕타임스(NYT)는 ‘세계에서 가장 외로운 나라 중 하나, 반려견에게서 동반자를 찾다’는 제하의 기사에서 한국의 반려견 문화를 다뤘다.
NYT는 “얼마 전까지만 해도 한국은 개를 식용으로 사육하는 전통으로 인해 전 세계 언론의 헤드라인을 장식하고, 동물권 단체의 분노를 불러일으켰다”면서도 “하지만 최근 몇 년 동안 한국 사람들은 반려동물, 특히 개를 키우는 데 열광하고 있다”고 했다.
매체는 독신, 무자녀를 선택하는 한국인이 늘어남과 동시에 반려동물을 찾는 이들이 늘어나고 있다고 전했다. 또, 팬데믹으로 인해 실내에 갇혔던 사람들이 개와 고양이를 보호소와 길거리에서 데려온 것도 영향을 미쳤다고 분석했다.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반려동물을 기르는 가구는 2012년 364만 가구에서 2022년 602만 가구로 늘어났다. NYT는 “정부 추산에 따르면 현재 한국의 4가구 중 1가구는 반려동물을 키우고 있다”며 “작년 약 62%의 가정에서 반려동물을 키우는 미국에 비하면 여전히 낮은 수준이긴 하다”고 했다.
반려동물 붐은 도시의 풍경을 바꿔 놓았다고 NYT는 전했다. 한국의 출산율이 세계 최저 수준으로 떨어지면서 반려동물을 위한 병원과 상점이 보편화됐지만, 산부인과는 거의 사라졌다. 공원이나 동네에서 유아차에 반려견을 태우고 다니는 모습은 흔해졌다. 이커머스 업체 G마켓에 따르면, 지난해 처음으로 반려견을 태우는 ‘개모차’ 판매량이 유아차를 넘어섰다.
강아지와 함께 참여하는 템플스테이 ‘댕플스테이’를 운영하는 충북 증평군 미륵사도 NYT는 소개됐다. 사찰 주지 석정각 스님은 반려견 ‘화엄이’를 쓰다듬으며 “인간과 개는 서로 다른 껍질을 쓴 영혼일 뿐이며 다음 생에서는 껍질을 바꿀 수 있다”고 설법했다.
NYT는 올해 초 식용견 사육 및 도살을 금지하는 법안이 국회를 통과한 사실을 거론하며 “정치적으로 양극화가 심화되는 이 나라에서 반려견은 드물게 초당적 협력을 끌어냈다”고 짚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