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잔에 담긴 떠난 이를 위한 애도, 그리고 살아가는 이를 위한 위로

5 days ago 10

한 잔의 술로, 한 곡의 음악으로 우리는 가끔 떠난 이를 떠올리며 애도한다. 술잔처럼 투명한 음악, 그 잔을 들어 우리는 잊힌 이들과 다시 만난다.

©unsplash

©unsplash

비행기와 기차에서 보내는 긴 시간 동안 다음 여정들을 위해 잠을 청하곤 하지만, 주로 영화를 보거나 드라마를 집중력 있게 감상한다. 새로운 작품들도 보지만 때로는 예전에 봤던 작품들을 다시 꺼내 보곤 한다. 무섭고 잔인한 작품들은 잘 못 본다. 꿈에 나올까 두렵고 머릿속에 남는 장면들이 불편하다. 또 시종일관 자극적인 음향의 작품들도 조금 피하는 편이다. 그래서 그런지 로맨틱 코미디, 로맨스, 역사, 가족 그리고 멜로 장르를 좋아한다.

이러한 장르의 작품들의 특징은 사람의 마음을 파고드는 슬픈 장면이 많다. 특히 떠남과 죽음에 관하여. 그러한 이유 때문에 불이 꺼진 비행기나 기차 창가에 기대어 작품을 보는 나에게 가끔, 혹은 주변 사람들에게 자주 민망한 상황을 보인다. 눈물 가득하거나 훌쩍거리거나, 나아가 집에 있었으면 펑펑 울었을 텐데 참느라고 흐느끼는 소리를 새어 나가게 한다. 게다가 이어폰을 끼고 작품을 보고 있으니 그 흐느끼고 훌쩍이는 소리가 다른 사람들에게 어느 정도 들리는지도 모르고 말이다.

화면 속의 슬픈 장면들을 마주하게 되면 우리는 동화된다. 슬프다. 살아오며 살아가며 그 슬픔들을 지나오고 가슴에 묻고 있어서 공감하고 느끼는 것일까? 아니면 누군가를 떠올리는 것일까? 지난여름 독립운동가 이육사 시인의 모습을 담은 오페라를 준비하면서 한 영화의 장면을 이야기하며 그의 순국 그리고 잊힌 이들이 우리에게 어떤 울림을 주는지 이야기를 나눴었다. 영화 <암살>에서 김원봉 역할을 한 조승우 배우는 해방을 맞이하였지만 슬픔 속에서 잊혀질 동지들을 애도하며 술잔 하나하나에다가 불을 붙인다. 미야자키 하야오의 <붉은 돼지>에서 마르코는 3년간 기다렸던 친구의 죽음 소식을 듣고 담담하게 화이트와인 한잔을 따라 애도한다.

언젠가부터 나에겐 작은 습관이 하나 생겼다. 독일 팔츠(Pfalz) 지역의 와인을 마실 때, Jever라는 맥주를 마실 때면 꼭 마음속으로 한 사람을 애도하며 나지막이 그를 위해 건배한다. 한 잔의 술을 기울일 때 그 한 잔의 술은 그리운 이를 만나게 하고 애도하게 하는 매개체가 된다. 거기에 음악까지 더하면 잠시나마 추억 속에서 떠난 이를 다시 만날 수 있다. 그 한 잔은 떠난 이를 위한 애도이기도 하지만 계속 살아가는 이를 위한 위로이자 용기이기도 하다.

영화 <암살> 스틸컷 / 출처. 네이버 영화

영화 <암살> 스틸컷 / 출처. 네이버 영화

많은 작곡가들이 죽은 이들을 위한 위령미사곡, 레퀴엠(Requiem)을 남겼다. 초기에는 오로지 장례미사를 위해 쓰였으나 시대가 지나 낭만주의 시대로 들어와서는 특정한 미사를 위한 음악이 아닌 연주회용 음악으로 쓰이기도 했다. 그러나 라틴어로 된 미사통상문과 고유문을 바탕으로 한 내용을 벗어나지 못하였다. 지극히 떠난 이들을 위령하기 위해서였다.

작곡가 브람스는 라틴어 대신 일상에서 사용하고 있는 독일어로 된 레퀴엠, 독일 레퀴엠(Ein deutsches Requiem)을 작곡했다. 나아가 미사통상문 대신에 직접 독일어 성경에서 구절들을 선정하여 가사를 구성했다. 어쩌면 그러한 방법을 통하여 좀 더 보편적인 레퀴엠을 널리 함께 공유하려 하지 않았을까? 떠난 이들에 대한 애도보다 남은 이들이 그 슬픔을 받아들이고 음악을 통해 위로받고, 희망을 서로 나누고자 한 것이 아닐까 생각된다.

한 잔의 술로, 한 곡의 음악으로 우리는 가끔 떠난 이를 떠올리며 그리워한다. 술잔처럼 투명한 음악, 그 잔을 들어 우리는 서로 위로하고 위로받는다.

지휘자 지중배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