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헤리티지 아트전 ‘이음의 변주’
무형문화재 장인, 현대 작가 22명 참여
불과 철 주제로 전통 공예· 현대미술 융합
무형문화재 장인이 10년에 걸쳐 완성한 책장, 100점을 만들어야 10점만 성공하는 도자기가 한자리에 모였다. 경북 포항에서 열리고 있는 ‘K-헤리티지 아트전: 이음의 변주’ 현장이다.
제철소의 도시 포항에서 불과 철을 주제로 전통 공예와 현대 미술을 융합한 전시가 열렸다. 예비사회적기업 세이버스코리아와 한국헤리티지문화재단이 공동한 이번 전시에는 총 22명의 작가가 70여점의 작품을 선보인다.
전시장 한 켠에 나무 결이 살아 있는 거대한 책장이 서 있다. 경남무형문화재 소목장 조복래 명인의 작품이다. 수령 800~1000년으로 추정되는 느티나무를 수년간 건조해 완성하기까지 10년이 걸렸다. 못 하나 쓰지 않고 짜 맞춘 구조에, 옻칠을 수차례 반복해 닦아낸 표면은 세월의 깊이를 품고 있다. 죽은 나무를 가장 사치스럽게 되살린 결과다.
조 명인의 아들 조현영 작가는 전통 사방탁자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작품을 선보였다. 부자의 손끝에서 ‘이음’의 주제가 그대로 이어진다.
김대철 명인은 ‘목엽천목사발’을 통해 불의 예술을 보여준다. 도자기 위에 실제 뽕잎을 얹어 1270도의 불길에서 세 번 구워내면 잎맥을 포함한 나뭇잎 모양이 고스란히 도자기에 남는다. 나뭇잎의 영양 상태에 따라 색이 달라지고, 1년에 하나만 완성될 정도로 희귀한 작품이다. 이는 당송 시대에 유행했던 양식을 현대적으로 재현한 것으로, 한동안 제작 기술이 사라졌다가 김 명인이 2017년부터 복원에 성공했다.
국가무형문화재 입사장 전승교육사 승경란 작가의 향로와 차합은 금속 표면에 홈을 파고 은선을 박아아 완성된다. 수백 번의 망치질이이 고려시대의 장식미를 오늘의 공예로 이어준다.
김경미 작가의 ‘취지 순금니 금강반야바라밀경’이 금빛으로 빛나는 10m 길이의 불경 필사 작품이다. 닥나무로 만든 전통 감지에 금니로 불경을 옮겨 적는 작업으로, 한 글자라도 틀리면 종이를 다시 만들어야 한다. 장인의 집중과 경건함이 그대로 전해진다.
이번 전시의 묘미는 장인정신이 현대 작가들의 실험과 자연스럽게 호응하는 데 있다. 오유경 작가는 금속과 자연의 순환을 탐구한 설치작품 ‘바람의 탑’을 선보였다. 김시영 작가는 고려시대 단절된 흑자를 복원해 바나나맛 우유 형태의 달항아리로 재해석했다.
유리공예가 홍성환의 ‘PANNONIA’ 시리즈, 조각가 신한철의 스테인리스 작품 ‘꿈무리’도 불과 쇠, 빛의 물성을 현대적으로 확장한 작품이다.
정우성 세이버스코리아 대표는 “무형문화재 장인들이 설 자리를 넓히고 그분들의 땀과 시간이 녹아든 작품들이 더 높이 평가받길 바란다”고 말했다. 전시는 오는 11월 7일까지 포항문화예술팩토리 아트갤러리에서 열린다.














English (U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