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한양행의 항암제 '렉라자'와 존슨앤드존슨(J&J)의 '리브리반트' 병용요법이 폐암 1차 치료제로서의 가능성을 입증했다. 폐암 환자의 생존율을 1년 이상 끌어올려 4년 이상 살 수 있는 시대가 열렸다는 평가가 나온다.
J&J는 26일(현지시간)부터 나흘간 프랑스 파리에서 열리는 유럽폐암학회(ELCC)에서 렉라자와 리브리반트의 병용요법을 기존 폐암 표준치료로 사용되던 아스트라제네카의 타그리소와 직접 비교한 임상 3상(MARIPOSA) 결과를 공개했다.
발표에 따르면 렉라자와 리브리반트는 상피세포 성장인자 수용체(EGFR) 엑손19 결손 및 L858R 치환 변이 비소세포폐암(NSCLC) 환자를 대상으로 한 임상에서 환자의 전체 생존기간(OS)을 크게 연장하는데 성공한 것으로 확인됐다. 아직 전체 생존기간의 중앙값에 도달하지 않아 정확한 수치는 공개되지 않았지만 타그리소 대비 환자들의 생존기간을 1년 이상 늦출 것으로 평가된다고 J&J 측은 설명했다. 타그리소의 전체 생존기간이 36.7개월인 만큼 4년 이상 생존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전체 생존기간은 환자가 치료를 시작하는 시기부터 얼마나 더 오래 살 수 있는지를 종합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중요 지표 중 하나다.
37.8개월 중간 추적 관찰 결과 렉라자와 리브리반트 병용요법의 3년 생존율은 60%로 타그리소(51%)에 비해 높았다. 이런 차이는 시간이 지날수록 더 벌어졌다. 42개월차에는 생존율이 56%와 44%로 더 큰 차이를 보였다. 이 데이터를 기반으로 예측했을 때 렉라자와 리브리반트가 타그리소보다 환자들의 생존기간을 12개월 이상 연장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J&J 측은 설명했다.
니콜라 지라르 프랑스 파리-사클레이대 의대 교수는 "두 약물을 병용하면 환자가 더 오래 살 수 있고 시간이 지날수록 환자가 얻을 수 있는 이익이 더 커진다는 것이 생존 곡선을 통해 증명됐다"며 "EGFR 변이 비소세포폐암 치료의 새로운 시대가 열렸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1차 치료에서 가장 효과적인 치료를 받아 모든 환자가 더 오래 생존할 수 있는 최선의 기회를 얻어야 한다"고 덧붙였다.
앞서 렉라자와 리브리반트는 치료 후 질병이 악화되지 않는 기간인 무진행생존기간(PFS) 지표에서도 이점을 증명했다. 2023년 10월 타그리소와 비교해 PFS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개선이 확인된 1차 종료 지점을 달성한 임상 결과를 공개했었다.
렉라자는 유한양행이 국내 바이오기업 오스코텍으로부터 도입해 개발한 항암제다. 상피세포 성장인자 수용체(EGFR) 변이 비소세포폐암(NSCLC) 환자의 1차 치료제로 존슨앤드존슨(J&J)의 리브리반트와 함께 지난해 8월 미국 식품의약국(FDA), 12월 유럽의약품청(EMA)으로부터 승인 받았다.
이영애 기자 0a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