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암 세포만 공격하는 초소형 항체 나왔다…"암세포 사멸 극대화"

11 hours ago 5

입력2025.08.13 20:24 수정2025.08.13 20:24

폐암세포만 공격하는 나노바디 개발한 생명연 연구팀. /사진=연합뉴스(한국생명공학연구원 제공)

폐암세포만 공격하는 나노바디 개발한 생명연 연구팀. /사진=연합뉴스(한국생명공학연구원 제공)

폐암 세포만 인식해 공격하는 초소형 항체가 개발됐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은 정주연 박사 연구팀이 폐선암 세포에서 많이 발견되는 단백질인 'CD155'에만 선택적으로 결합하는 초소형 항체 'A5 나노바디'를 개발했다고 13일 밝혔다.

연구팀에 따르면 이 나노바디는 일반 항체 크기의 10분의 1 수준으로 작아 몸속 깊은 곳까지 침투할 수 있으며, 정상세포에는 거의 영향을 주지 않고 암세포 표면에만 달라붙는 등 정밀성도 높다.

연구팀은 "항암제 '독소루비신'을 담은 약물 캡슐에 나노바디를 결합, 암세포 표면의 CD155 단백질에 항암제가 도달하도록 했다"면서 "실험 결과 암세포 내부로 전달되는 약물의 양이 최대 3배 이상 증가했고, 폐선암 세포에만 선택적으로 달라붙어 암세포의 이동과 침투를 50% 이상 억제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특히, 동물실험과 환자 유래 오가노이드(유사 장기) 모델을 활용한 실험에서 종양 크기는 70∼90%까지 줄었고, 세포 사멸 지표도 매우 증가했다고 연구팀은 전했다.

연구팀은 또 "간, 심장, 신장 등 주요 장기에도 손상이 나타나지 않았다. 항암제가 정상세포까지 공격하면서 나타나는 탈모, 구토, 면역력 저하 등 부작용은 줄이고, 암세포 사멸 효과는 극대화했다"고 강조했다.

연구를 이끈 정주연 박사는 "암세포를 정밀하게 표적화하고 약물을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새로운 치료 전략을 제시했다 폐암뿐만 아니라 다양한 암에 활용할 수 있는 정밀 의료 플랫폼 기술"이라고 말했다.

이보배 한경닷컴 객원기자 newsinfo@hankyung.com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