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직 젊다. 좋은 약이 됐을 것이다.”
삼성 라이온즈는 18일 대전 한화생명 볼파크에서 열린 한화 이글스와의 2025 프로야구 KBO 포스트시즌 플레이오프(5전 3선승제) 1차전서 난타전 끝에 8-9로 패했다. 장단 11안타를 때려 많은 점수를 냈지만 선발에 이어 불펜까지 무너진 끝에 당한 패배였다.
올해 정규리그에서 2위(83승 4무 57패)에 오르며 플레이오프에 직행한 한화는 지난 2018년 이후 7년 만의 가을야구를 앞두고 있다. 내친김에 이들은 2006년 이후 19년 만의 한국시리즈 진출을 겨냥하고 있는 상황. 반대로 74승 2무 68패를 기록하면서 정규리그 4위의 자격으로 가을야구에 나선 삼성은 와일드카드 결정전서 NC 다이노스, 준플레이오프에서 SSG 랜더스를 차례로 꺾고 또 한 번의 기적의 업셋을 통해 한국시리즈 진출을 노리고 있다.
정규리그에서 2위(83승 4무 57패)에 오르며 플레이오프로 직행한 한화는 이로써 한국시리즈 진출의 유리한 고지를 선점하게 됐다. 역대 플레이오프 1차전 승리 팀의 한국시리즈 진출 확률은 무려 76.5%(26/34) 달한다. 지난 2018년 이후 7년 만에 나선 가을무대였지만 박빙의 승부서 승리를 거뒀다.
반대로 삼성의 1차전 패배는 여러모로 아쉬움이 많았다. 2회 초 3점을 먼저 뽑고 앞서갔다. 하지만 2회 말 선발투수 가라비토가 대거 5실점을 하면서 역전을 허용했다. 실점 과정에서 빗맞은 안타에 홈 승부를 한 가라비토의 아쉬운 플레이가 겹치기도 했다. 하지만 허무하게 역전을 당한 이후에도 삼성은 3회 2점, 4회 1점을 내고 다시 경기를 뒤집었다.
그러나 반전은 남아 있었다. 6회 구원 투수 양창섭, 배찬승, 이호성이 연달아 무너지면서 대거 3실점을 했다. 거기에 8회 이재익이 2사 후 볼넷과 안타를 허용하고 교체된 이후 김태훈이 좌전 적시타를 맞고 추가 실점 하면서 다시 6-9로 끌려갔다.
삼성 타선이 9회 초 2점을 따라붙었지만 경기를 뒤집기엔 역부족이었다. 위기 상황마다 많은 실점을 한 투수진의 부진이 여러모로 아쉬웠던 경기 내용이었다.
다음은 패장 박진만 감독과의 일문일답이다.
Q. 경기 총평을 한다면
- 오늘 우리 타선들은 한화 투수 상대로 좋은 결과를 냈다. 수비 쪽에서는 2사 후 적시타를 맞았다. 그런 부분이 좀 아쉬웠던 게임이다.
Q. 배찬승, 이호성이 흔들렸다
- 아직 젊다. 잘 이겨낼 거라 생각한다. 우리 제일 강한 필승조다. 오늘 계기로 좋은 약이 됐을 것 같다. 앞으로 시리즈에서도 그 선수들이 해줘야 경기를 가져갈 수 있다. 오늘 경기 빨리 잊어버리고 내일 활기차게 해 줬으면 좋겠다.
Q. 배찬승을 2스트라이크 이후 교체했는데
- 무사 2루였고, 번트 실패로 2스트라이크를 잡았다. 가지고 있는 제일 구위적으로 압박할 수 있고 삼진 잡을 수 있는 선수로 준비했다. 그 상황에서 주자를 3루로 안 보내기 위해 투입했다. 그런 부분에 아쉬움이 있는 것 같다.
Q. 가라비토의 홈 송구 판단 미스는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 빗맞았다. 제가 봤을 때는 본인이 잘 판단했다 생각한다. 1루 송구보다 홈에서 승부 볼 수 있겠다고 판단한 것 같다. 아쉽게 됐지만 그 판단에 대해서는 잘못됐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Q. 구자욱이 경기 초반 타석에서 폰세와 신경전 벌였는데
- 포스트시즌에서 나올 수 있는 상황인 것 같다. 하나 하나 신경전을 벌이면서 분위기를 가져오게끔 주장으로서 한 것 같다. 그 전에 (폰세가) 타임을 두 번 걸었다. 타자 입장에선 투수가 그것을 이용한다 생각한 것 같다.
Q. 상대의 에이스와 마무리 투수를 공략했다
- 준플레이오프부터 1차전까지 타격은 정상적으로 가고 있다. 오늘 폰세를 그렇게 두들길 거라곤 예상 못했다. 선수들이 준비 잘했다. 실투 왔을 때 선수들이 인플레이 타구를 잘 만들었다. 타선은 살아났기에 이번 시리즈는 투수들이 한화 타선을 어떻게 막느냐가 관건이다.
Q. 한화 타선 어떻게 보셨는지
- 안타를 15개 쳤다. 한화도 준비를 잘한 것 같다. 거기에 맞춰 우리도 더 착실하게 준비해야 할 것 같다.
Q. 뛰는 야구 많이 했는데
-상황에 따라 뛸 수 있는 상황이면 오늘 같은 경기가 내일 나올 거라 생각 안 한다. 상황 상황에 주력이 좋은 선수들이 투수를 흔들 수 있는 상황을 더 만들어야 할 것 같다.
[김원익, (대전)=이한주 MK스포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