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워 맥 G3 ROM에서 27년된 이스터에그를 발견한 이야기

1 week ago 5

  • Power Mac G3 ROM 내부를 분석하다가 독특한 이스터에그를 우연히 찾아낸 경험 소개임
  • HPOE라는 리소스에서 개발자 사진이 숨겨져 있음을 이미 알려졌지만, 실제 표시 방법은 지금껏 미스터리였음
  • "secret ROM image" 라는 텍스트가 SCSI Manager 코드에서 등장하며 실마리를 제공함
  • RAM 디스크를 특정 이름으로 포맷하면 "The Team" 파일이 생성되고, 이 파일이 숨겨진 이미지를 공개
  • 이 방식은 Mac OS 9.0.4까지 동작하며, 이번 발견이 이 이스터에그의 최초 공개로 보임

Power Mac G3 ROM에서의 이스터에그 발견 배경

  • 최근 Power Macintosh G3의 ROM을 분석하는 과정에서, 지금껏 공식적으로 문서화되지 않은 이스터에그를 발견함
  • 분석에는 Hex Fiend와, Eric Harmon의 Mac ROM 템플릿인 ROM Fiend가 사용됨
  • 1997년부터 1999년까지 사용됐던 beige 데스크탑, 미니타워, all-in-one G3 모델 ROM에 해당함
  • 개발자 본인도 G3가 27년이 넘었다는 사실에 감탄

ROM에서의 흥미로운 발견 요약

  • 첫 번째로 눈에 띈 점은 HPOE 타입 리소스에 있는 JPEG 이미지였으며, 이는 당시 이 모델 개발에 참여했던 인물들의 단체 사진으로 추정됨
  • 이 이미지는 이전에도 언급된 적 있지만, 실제로 표시하는 법은 밝혀지지 않았음
  • 두 번째로, nitt 리소스 ID 43(Native 4.3) 에서 흥미로운 Pascal 문자열을 발견함: ".Edisk", "secret ROM image", "The Team"
  • "secret ROM image"는 도스 맥의 이스터에그와 연관될 수 있다고 추정했으나, 기존 방식은 G3에서는 동작하지 않음

코드 분석 및 방법 도출 과정

  • 코드를 역어셈블하기로 결정하고, 전체 nitt43 파일을 Ghidra 프로그램으로 분석함
  • PowerPC 어셈블리 코드는 익숙하지 않았으나 Ghidra의 디컴파일러 덕분에 가독성이 높은 코드로 변환 가능했음
  • 주요 함수가 .EDisk(RAM 디스크) 드라이버와 상호작용하는 것으로 드러남
  • 이름이 "secret ROM image"인 볼륨(=RAM 디스크)이 감지되면, HPOE 리소스 ID 1에 담긴 JPEG 데이터를 "The Team"이란 파일에 기록함

실제 이스터에그 발동 방법

  • 분석 결과, RAM 디스크를 "secret ROM image"라는 이름으로 포맷하면 이스터에그가 실행됨
  • Infinite Mac 프로젝트 등 온라인 에뮬레이터에서 이 방법을 확인할 수 있음
  • 구체적 순서:
    • 메모리 제어판에서 RAM 디스크 활성화
    • Special 메뉴에서 Restart 선택
    • 바탕화면 복귀 후 RAM 디스크 아이콘 선택
    • Special 메뉴에서 Erase Disk 선택
    • 이름을 "secret ROM image"로 정확히 입력 후 Erase 클릭
    • 포맷한 RAM 디스크를 열면 "The Team" 파일이 생성됨
  • 파일은 SimpleText 등으로 열어서 내부 이미지를 확인 가능

이스터에그의 의의 및 마무리

  • 이 방법은 Mac OS 9.0.4 버전까지 정상 동작하는 것으로 테스트됨
  • 지금까지 해당 이미지가 ROM에 있다는 사실은 알려져 있었으나, 실제 발동 방법은 이번에 처음으로 완전히 밝혀짐
  • 이는 Steve Jobs가 1997년 Apple로 복귀한 후 공식적으로 금지했던 마지막 이스터에그들 중 하나일 가능성이 큼
  • 여러 테스트와 힌트 덕분에 숨겨진 기능이 세상에 드러난 것으로, 올드맥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분석역사적 기술 발굴 측면에서 큰 의미를 가짐

마무리

  • RAM 디스크를 이름 바꿔 포맷하는 단순한 방법으로 27년간 잠자고 있던 개발팀의 비공식 추억 이미지가 드러난 사례임
  • 이스터에그 기술과 Apple 개발문화, 숨은 개발자들의 흔적에 관심 있는 독자들에게 흥미로운 사례임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