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가 그 어려운 걸 해냈다"…한중일 통상장관 '맞손'에 깜짝

1 day ago 3

입력2025.04.01 07:12 수정2025.04.01 07:12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가운데)과 무토 요지 일본 경제산업상(왼쪽), 왕원타오 중국 상무부장이 30일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열린 제13차 한·일·중 경제통상장관회의에서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 사진=최혁 기자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가운데)과 무토 요지 일본 경제산업상(왼쪽), 왕원타오 중국 상무부장이 30일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열린 제13차 한·일·중 경제통상장관회의에서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 사진=최혁 기자

중국 측이 지난달 30일 서울에서 개최된 한·일·중 경제통상장관회의에서 3국이 미국발(發) 관세 충격에 공동 대응하자는 뜻을 공유했다고 의미를 부여했다.

중국중앙TV(CCTV)가 운영하는 소셜미디어 채널 '위위안탄톈'은 지난달 31일 서울에서 열린 13차 한·일·중 경제통상장관회의가 한국에서 열렸다고 전하면서 "이번 회의 분위기는 좋았고, 일본과 한국은 회의를 매우 중시하면서 모두 협력을 이야기했다"고 했다.

매체는 "중일한 3국이 협력과 다자 무역 메커니즘에 대한 수호를 통해, 미국의 상호 관세 인상 등 행동이 글로벌 무역에 가져온 불확실성에 확실성으로 헤징(對沖·위험 회피)해야 한다는 점, 이에 대해 3국(의 입장)이 모두 비교적 명확했다"고 덧붙였다.

매체는 3국이 공급망 협력과 수출 통제 대화 강화에 동의했다면서 "일본과 한국은 우리로부터 몇몇 반도체 원자재를 수입하기를 희망하고, 우리 역시 일본과 한국의 반도체 상품 수입을 희망한다. 중일한이 가진 공동 인식은 이런 영역에서 원활한 공급망을 유지하기를 희망한다는 점"이라고 했다.

매체는 또 3국이 자유무역협정(FTA)에 관해서도 의견을 나눴다며 "중일한 FTA가 역내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RCEP)의 기초 위에서 더 개방될 것으로 파악됐다"고 덧붙였다.

앞선 회의에 참석한 중국 측 왕 원타오 상무부 부장은 모두발언에서 3국 간 FTA를 비롯한 자유·다자 무역을 강화하자고 제안하면서 "세계 경제가 어려워지고 불확실성이 큰 상황에서 중국, 일본, 한국은 지역과 세계의 번영을 증진하는 데 책임을 지고 있다"고 했다.

왕 부장은 지난달 29일 열린 한·중 상무장관 회의에서도 미국의 보호무역주의를 겨냥해 같은 제안을 한 바 있다. 왕 부장은 제안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이끄는 미국 행정부의 보호무역주의를 공개 비판하는 한편, 미국의 반도체 제재 속에서 협력 파트너로서 한국의 필요성을 강조한 것으로 풀이된다.

다만 안덕근 산업장관이나, 무토 요지 일본 경제산업성 대신은 왕 부장의 이 같은 '보호무역주의 비판' 발언에 대해 직접적인 입장을 공개적으로 밝히진 않았다. 이후 비공개로 진행한 회의에서 상황 인식을 일정 부분 공유한 것으로 전해진다.

홍민성 한경닷컴 기자 mshong@hankyung.com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