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마트-타깃-홈디포서 만남 요청
관세 따른 소비자 부담 등 설명
백악관-업체측 “생산적 회의 진행”
이 자리에서 CEO들은 트럼프 2기 행정부의 고강도 ‘관세 폭격’이 미국 유통업계에 큰 타격을 줄 수 있다는 우려를 전달한 것으로 알려졌다. 대형 유통업체들이 주로 취급하는 생활필수품 가격이 상승하면 트럼프 2기 행정부의 핵심 정책인 ‘관세’에 대한 여론 악화가 불가피하다. 트럼프 대통령이 직접 유통업체 CEO들과의 만남을 가진 건 이런 점을 의식한 행보로 풀이된다.
이번 회동은 백악관이 사전 배포한 공개 일정엔 포함되지 않았다. 다만 언론 보도로 회동 사실이 알려지자 백악관은 “회의가 잘 진행됐다”고 밝혔다. 유통업체들도 같은 의견을 냈다. 월마트는 “대통령과 생산적인 회의를 했다. 우리의 견해를 공유할 기회를 감사히 여긴다”고 했다. 타깃은 “무역에 대한 향후 방향을 논의했다”, 홈디포는 “유익하고 건설적인 회의를 가졌다”고 밝혔다.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이번 만남은 업체들의 요청에 따라 이뤄졌다. 관세에 따른 비용 증가 등을 우려한 유통기업들이 백악관에 직접 대화를 요청했다는 것이다. 그런 만큼, 이번 회동에서 CEO들은 트럼프 정부가 부과해 온 관세가 업체들이 취급하는 제품의 원가를 어떻게, 얼마나 급등시킬 수 있는지 등을 상세하게 설명했을 가능성이 크다.미국 유통업체가 취급하는 제품의 상당수는 중국과 멕시코 등 해외에서 생산된다. 관세가 붙으면 자연스럽게 이들 업체의 부담도 커지는 구조다. 이에 CEO들은 결과적으로 그 부담이 소비자들에게 전가돼 전반적인 소비 심리 위축은 물론 경기 둔화를 유발할 수 있다는 우려를 전달했을 것으로 보인다. 이 과정에서 트럼프 대통령에게 관세 정책의 집행 강도를 낮춰달라고 요청했을 가능성 역시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달 4일에도 포드의 짐 팔리 CEO 및 빌 포드 회장, 메리 배라 제너럴모터스(GM) CEO, 존 엘칸 스텔란티스 회장과 잇달아 통화했다. 당시 미국 자동차 ‘빅3’ CEO들은 관세에 대한 우려를 전달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리고 하루 뒤 트럼프 대통령은 캐나다와 멕시코에서 수입하는 자동차 및 관련 부품에 대해 1개월간 관세를 면제했다. 자동차업계 경영자와의 면담 때와 마찬가지로 이번 만남을 계기로 백악관이 미국 유통업체를 배려하는 조치를 내놓을지 관심이다.
워싱턴=신진우 특파원 niceshin@donga.com
- 좋아요 0개
- 슬퍼요 0개
- 화나요 0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