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7월 9일 예정된 상호관세 부과를 앞두고 기존 '포괄적 무역 합의'라는 야심 찬 목표에서 한발 물러섰다.
1일(현지시간)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에 따르면 트럼프 행정부는 보다 좁은 범위의 '단계적 합의'를 모색하는 방향으로 전략을 수정했다. 90일간 관세 유예 기간 동안 90개국과 무역 합의를 체결하겠다는 당초 계획에서 한발 물러난 것이다. 일부 국가들에겐 상호관세를 피할 기회가 될 수 있다.
미국은 주요 쟁점 중 일부에 대해 '원칙적 합의'를 맺는 국가에는 최고 수준의 상호관세 부과를 면제해 주려 한다는 게 FT의 분석이다. 이들 국가에는 10%의 기본 관세만 유지한 채 나머지 현안을 놓고 협상을 이어간다.
포괄적 타결 대신 핵심 분야에서 부분적 성과를 거두고 나머지를 추후 과제로 남기는 협상 방식이다. 영국과의 무역 합의에서 이런 전략이 사용됐다.
미국은 영국산 자동차에 제한적인 저율 관세 쿼터를 적용하고 항공기 부품 관세를 인하하는 데 합의했다. 그러나 철강·알루미늄 관세 문제는 해결하지 못했으며 영국산 수출품에 대한 10% 관세는 유지됐다.
다만 이런 유화적 제스처와 동시에 트럼프 행정부는 자동차·철강·반도체 등 특정 부문에 추가 관세를 부과할 가능성을 열어두는 양면적 전략을 쓰고 있다. 미국 상무부는 무역확장법 232조에 근거해 구리·목재·항공우주 부품·의약품·반도체·핵심 광물 등을 포함한 특정 산업 부문의 안보 침해 여부를 조사하고 있다.
한편 트럼프 대통령이 마감일인 7월 9일 이전에 기본 합의조차 도달하지 못하는 나라들에 관세율을 어떻게 설정할지도 불확실하다.
이송렬 한경닷컴 기자 yisr0203@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