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플, 145% 대중 관세 앞두고 아이폰 등 전자제품 일시 면제 받아
팀 쿡, 트럼프 정부 고위직 직접 설득…취임식 기부·美 투자 등 총력
18일 맥루머스 등 외신에 따르면 쿡 CEO는 지난주 하워드 러트닉 미 상무장관과 직접 통화해 중국발 부품에 대한 관세가 아이폰 가격에 심각한 영향을 미친다는 입장을 강조한 것으로 알려졌다. 백악관 고위 관계자들과도 접촉하며 관세 예외 조치를 적극 요청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외에도 쿡 CEO는 최근 트럼프 대통령이나 현 미 정부의 정책에 대해 공개적인 비판을 자제하는 등 신중한 태도를 유지해온 것으로 평가된다.
트럼프 1기 정부에서 상무장관을 지낸 윌버 로스 전 장관은 쿡 CEO에 대해 “중국에 대한 의존도가 크지만 미국 경제에도 중대한 인물”이라며 “우는 소리를 내는 대신 현실적인 목소리를 내는 인물로서 존중받고 있다”고 강조했다.쿡 CEO가 말로만 로비를 하는 것이 아니라 실제 투자 등을 통해 트럼프 대통령의 ‘환심 사기’에 나서고 있다는 분석도 있다.
이미 쿡 CEO는 지난 1월 트럼프 대통령의 취임식에 100만 달러(약 14억원)를 기부한 바 있다. 애플 회사 차원이 아니라 개인 자격으로 트럼프 취임식위원회에 100만 달러를 전달했다.
또 애플은 최근 트럼프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관세 전쟁의 궁극적 목표인 ‘미국 내 제조업 확대’ 기조에 발맞추는 모습도 보이고 있다. 애플은 미국 텍사스주 휴스턴 지역에 서버 생산 시설을 설립하고, 미국 내에 총 5000억 달러(약 710조원)를 투자하겠다고 발표했다.쿡 CEO는 트럼프 1기 정부 때도 아이폰과 애플워치 등에 대한 관세 부과를 막기 위해 직접 나선 적이 있다. 당시 쿡 CEO는 관세가 경쟁사인 삼성전자 등에 유리하게 작용할 수 있다는 논리를 들어 트럼프를 설득한 것으로 알려졌다.하지만 이번에는 미중 무역 갈등이 더 거세진 만큼 사정이 다르다. 트럼프 대통령이 전세계를 대상으로 한 상호관세를 발표한 이후 “기업 압력에 관세를 낮추지 않을 것”이라고 선을 그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쿡 CEO를 비롯한 미국 내 주요 빅테크들이 합심해서 어려움을 호소하자 곧바로 말을 바꾸기도 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전자제품 관세 면제 조치를 두고 “내가 최근 팀 쿡을 도와줬다. 그가 나를 직접 만나러 온 점이 인상 깊었다”며 자화자찬하는 모습을 보였다.
그럼에도 트럼프는 여전히 “애플은 미국에서도 제품을 생산할 수 있다”며 미국 내 아이폰 생산이 가능하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이에 대해 애플은 인건비와 인프라 부족 문제로 현실성이 떨어진다며 난색을 표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이 당장은 애플의 숨통을 트여줬지만 여전히 양측의 입장이 다른 셈이다. 트럼프 대통령이 또다시 자신의 말을 번복할 가능성도 적지 않다.
업계에서도 이번 전자제품 관세 면제가 영구적인 조치가 아닐 것이라는 전망이 지배적이다. 러트닉 장관은 지난 14일(현지시간) 인터뷰에서 “현재 전자제품 관세 면제는 일시적 조치다. 1~2개월 내에 반도체 및 전자공급망 전반에 대한 국가안보 관세 조사를 통해 보다 포괄적인 관세 방안을 내놓을 계획”이라고 예고했다.트럼프 정부의 고율 관세 조치가 계속될 경우 애플이 다시 관세 부담을 피하기 어려울 수 있다는 전망도 제기된다. 특히 스마트폰 및 반도체 분야가 차기 조사 대상으로 지목된 만큼 향후 아이폰 생산·공급 가격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분석이다.
한편 애플 주가는 트럼프 대통령의 전세계 상호관세 부과 조치 발표 이후 최대 20% 가량 하락했다. 전자제품 관세 면제 예외 조치 발표 이후에는 일부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
[서울=뉴시스]
- 좋아요 0개
- 슬퍼요 0개
- 화나요 0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