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지거래허가구역 재지정과 조기 대선 국면으로 부동산 시장에 불확실성이 커졌지만, 50억원 이상 고가 아파트는 거래가 2배 이상 늘며 신고가도 속출하고 있다.
11일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이달 10일까지 신고된 서울의 50억원 이상 아파트 거래는 163건으로 집계됐다. 전년 동기 73건보다 2.2배 많은 양이다. 같은 기간 100억원 이상 아파트 거래도 6건에서 8건으로 늘었다.
서울시가 지난 3월 24일부터 강남 3구(강남·서초·송파구)와 용산구 전체 아파트를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지정한 뒤 일반 아파트 거래는 크게 위축됐지만, 고가 아파트 시장은 규제 '무풍지대'라는 평가가 나올 정도로 영향을 받지 않는 모습이다.
50억원 이상 거래는 서초구 반포동과 강남구 압구정동에 집중되는 양상을 보였다. 반포동이 34%(56건), 압구정동은 30%(44건)로 가장 높은 비중을 보였고 영등포구 여의도동(12건), 강남구 대치동(11건)이 뒤를 이었다.
특히 지난해 같은 기간 50억원 이상 아파트 거래에서 반포동 비중이 18%(13건)에 그쳤던 것에 비하면 반포동에서 고가 거래가 눈에 띄게 늘었다.
100억원 이상 초고가 아파트 거래는 용산구 한남동에 집중됐다. 올해 거래된 최고가 아파트는 한남동 '한남더힐'로, 지난달 전용면적 243.2㎡가 175억원에 팔렸다. 2위 거래도 한남동이다. '나인원한남' 전용 244.3㎡가 지난달 158억원에 매매됐다.
3위는 성수동 '아크로서울포레스트' 전용 159.6㎡로, 2월 135억원에 손바뀜됐다. 이어 반포동 '아크로리버파크' 전용 154.97㎡가 2월 100억원에 거래됐다.
고가 아파트에서 신고가 거래가 속출하는 배경에는 ‘똘똘한 한 채’ 선호 현상이 강해지며 갈아타기 수요가 늘었고, 기존 빌딩 투자 수요도 아파트 시장에 유입된 것이 꼽힌다.
업계 관계자는 "정책 불확실성과 고강도 규제 속에서도 공급이 제한된 핵심 지역으로 수요가 몰리고 있다"며 "초고가 아파트 시장은 거주나 투자 목적을 넘어 상징적 의미도 부여된다. 기존과 다른 시장이 형성된 것"이라고 말했다.
오세성 한경닷컴 기자 sesu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