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社 43%, 국채보다 고배당

12 hours ago 1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지난해 시가배당률이 국고채 수익률을 초과한 코스피 기업은 247개사로, 이들의 평균 시가배당률은 4.84%에 달했다.

247개사 중 122개사는 5년 이상 국고채 수익률을 초과하며, 평균 초과 수익률은 2.23% 포인트에 이른다.

전체 12월 결산법인 중 70%가 현금배당을 실시했으며, 총 배당금은 30조3000억원으로 전년 대비 10.5% 증가했다.

회원용

핵심 요약쏙은 회원용 콘텐츠입니다.

매일경제 최신 뉴스를 요약해서 빠르게 읽을 수 있습니다.

247개기업 시가배당률 4.8%
3.2%인 국고채 수익률 앞서

지난해 시가배당률이 국고채 수익률을 상회한 코스피 기업은 247개사였다.

시가배당률은 배당기준일 2거래일 전 일주일간 평균 종가와 주당 배당금 비율을 나타낸다. 배당기준일에 임박해 배당주를 매입하더라도 배당락이 없으면 안전자산인 국고채보다 더 높은 수익률을 올릴 수 있다는 의미다.

21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지난해 코스피 기업 247개사(전체 유가증권시장 상장사의 43.7%)의 시가배당률이 국고채 수익률(3.17%)을 상회해 2023년도 168개사(30.1%)보다 큰 폭으로 늘었다. 이들 247개사의 평균 시가배당률은 4.84%였다.

시가배당률이 국고채 수익률을 5년 이상 연이어 초과한 법인은 122개사, 초과 수익률은 2.23%포인트로 나왔다. 최근 5년간 업종별 평균 시가배당률은 금융이 3.8%로 가장 높았고 전기가스 3.61%, 통신은 3.49%였다.

한편 전체 12월 결산법인(807사)의 70%(565사)가 현금배당을 실시했는데 총 배당금은 30조3000억원으로 전년(27조5000억원)에 비해 10.5% 증가했다.

보통주·우선주의 평균 시가배당률은 각각 3.05%, 3.70%로 모두 최근 5년래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한국거래소 관계자는 "지난 5년간 평균 시가배당률이 증가 추세를 유지하는 가운데 2024년 최고치를 기록했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경영 환경 악화에도 다수의 상장사가 기업 이익을 주주환원이나 안정적인 배당정책을 유지하는 데 사용하면서 노력하는 모습을 보였다"고 말했다.

지난해에는 외국인 자금 유출과 정치적 불안정성 등 증시에 악재가 겹치며 현금배당을 실시한 법인의 평균 주가 등락률이 -5.09%를 기록했다. 그러나 코스피 하락률(-9.63%)보다는 양호한 성과를 냈다.

[김제림 기자]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

좋아요 0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