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경궁 안에 있는 보물 석탑이 일제강점기 당시 궁궐을 꾸미기 위해 옮겨온 것으로 추정된다는 연구결과가 나와 관심이 쏠린다.
국가유산청이 올해부터 창경궁 복원·정비 사업을 단계적으로 추진하겠다고 밝힌 가운데 조선 왕조의 역사성을 고려해 탑을 이전하는 방안까지 검토할지 주목된다.
12일 국가유산청에 따르면 동국대 산학협력단(책임연구원 김민규)은 최근 연구·조사 성과를 정리한 ‘창경궁 내 석조물 역사성 고증연구 용역 보고서’를 궁능유적본부에 제출했다.
조선시대 석조 미술사를 전공한 김민규 문화유산전문위원을 주축으로 한 연구진은 보물 ‘창경궁 팔각칠층석탑’을 비롯한 주요 석조물의 조성 경위와 설치 시기를 조사했다.
연구진은 1층 몸돌에 새겨진 명문을 근거로 “1470년 명나라 요양(遼陽·랴오양)이라는 도시에서 ‘정옥암’(珽玉巖)이라는 인물이 생전에 건립한 작품”이라고 판단했다.
연구진은 “‘도강’(都綱)이라는 불교계 관직을 지낸 인물이 자신의 장수를 위해 건립한 것”이라며 “랴오닝(遼寧) 지역의 탑과 동일한 형태와 제작 방법이 관찰됐다”고 설명했다.
이어 “1913∼1929년에 창경궁 조경을 위해 이전됐으며 이런 조경 방식은 일본에서 유래한 것”이라고 덧붙였다.
연구진은 탑 꼭대기에 후대에 더한 듯한 머리 장식이 올려져 있는 것과 관련해서는 “최상단 부재는 (아래) 탑과는 다른 조선시대 작품으로 볼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들은 일본 궁내청이 소장한 창덕궁 사진첩 자료를 근거로 “창덕궁 존덕정 앞 대석(臺石) 위에 놓여 있던 것을 탑을 이전할 때 올려놓은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이번 보고서는 창경궁 복원·정비 계획을 수립할 때 반영될 예정이다.
궁능유적본부 관계자는 창경궁 팔각칠층석탑 이전 여부와 관련해 “보고서에 제시된 여러 안을 토대로 내부적으로 검토한 뒤 결정할 계획”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