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천 선수들이 지난해 11월 2일 김천종합운동장에서 열린 수원FC와 홈경기 후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제공|한국프로축구연맹
김천 상무의 시민구단 전환이 순조롭지 않다. 올해를 끝으로 국군체육부대(상무)와 연고 협약이 끝나는 만큼 시민구단 전환을 서둘러야 하지만, 곳곳에 암초가 도사리고 있다.
김천은 독립적으로 시민구단을 만들고자 한다. 지난해부터 ‘시민구단 전환과 확고한 기반 조성’에 방점을 찍고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매년 더해가는 지역의 축구 열기를 이어가고자 한다. 2023년 홈경기 관중은 2만1305명, 경기당 1157명이었지만, 2024년에는 각각 6만5458명, 3445명으로 크게 늘었다. 팀 성적도 지난 시즌 K리그1 3위(18승9무11패·승점 63)를 차지하며 군팀으로는 역대 최고 성과를 거뒀다.
하지만 시민구단으로 가는 길에는 걸림돌이 만만치 않다. 무엇보다 사업을 추진하는 데 중심이 되어야 할 지자체의 상황이 어수선하다. 지난해 11월 김충섭 김천시장이 공직선거법 위반 혐의로 퇴임해 현재 시장직이 공석인 까닭에 시민구단 전환 속도가 더디기만 하다. 올해 4월 치러질 재보궐선거에서 새로운 시장이 선출되더라도 사실상 다시 시작해야 할 처지다.
수년간 김천의 시민구단 전환을 추진하고 있는 이재하 대표이사는 “연고 협약은 한국프로축구연맹, 국군체육부대, 그리고 김천시가 맺고 있다. 김천시에 새로운 시민구단을 만들기 위해선 이 주체들의 합심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그러나 4월 당선될 새로운 시장이자 구단주께 새로 시민구단 사업 허가를 받아야 한다”며 “시민구단 준비 과정은 최소 1년이 필요한 장기 사업이다. 따라서 일단 상무와 계약을 내년까지 연장한 뒤 차근차근 다시 시민구단 전환 절차를 밟을 것”이라고 밝혔다.
당면한 기본 과제는 지자체와 공감대 형성이다. 2011년 상무와 연계한 상주는 2020년 협약이 끝난 뒤 지자체와 불협화음 때문에 시민구단으로 독립하지 못했다. 당시 상주시장이 수입 감소와 후원사 유치의 어려움, 인건비 증가 등을 우려해 상주시민축구단 창설을 포기한 바 있다. 김천이 상무와 떨어지고도 K리그에 남기 위해선 지자체의 동의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백현기 기자 hkbaek@donga.com 기자의 다른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