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굿, 창작 협주곡으로 재탄생…여섯 번째 '전통의 재발견'

1 week ago 2

[이데일리 이윤정 기자] 국립국악원 창작악단은 9월 25일과 26일 서울 서초구 국립국악원 예악당에서 정기공연 ‘전통의 재발견VI-굿’을 올린다. 전통 국악이 국악관현악으로 재창조되는 ‘전통의 재발견’ 시리즈의 여섯 번째 무대다.

2021년에 시작한 ‘전통의 재발견’ 시리즈는 현재 전승되고 있는 대표적인 전통 악곡을 바탕으로 새롭게 작곡한 작품을 국악관현악 연주로 선보이는 무대다. 지난 4년 동안 21개 작품을 선보였고, 올해는 국악의 뿌리라고 할 수 있는 지역별 굿을 중심으로 창작한 4개의 협주곡을 초연한다.

이번 공연을 위해 국악계에서 왕성한 활동을 펼치고 있는 이고운, 박한규, 김백찬, 정승희 등 4명의 작곡가에게 작품을 위촉했다. 각 지역의 굿 음악을 대표하는 유지숙(국립국악원 민속악단 예술감독), 김동언(부산 기장 오구굿 보유자), 이태백(진도씻김굿 이수자), 정영만(남해안별신굿 보유자) 등 명인들이 협연자로 나선다.

부산 기장 오구굿 보유자인 김동언의 공연 모습(사진=국립국악원).

이고운 작곡의 ‘서도소리와 국악관현악을 위한 다리굿’은 이북5도 무형유산으로 지정된 ‘평안도 다리굿’을 소재로 망자의 한을 풀고 극락으로 보내는 의미를 전한다. 서도소리의 짙은 음색으로 망자들의 이야기를 넋두리처럼 전하고 신을 부르는 노래가 이어진다. 본래의 평안도 다리굿은 선율악기 없이 타악기 위주로만 진행하는데, 이번 공연에서는 상상력을 발휘해 굿판의 음향을 색다르게 그려낼 예정이다.

박한규 작곡의 ‘신이로구나’는 전남 진도 지역을 중심으로 전승하고 있는 ‘진도씻김굿’을 소재로 한다. 김백찬 작곡의 ‘국악관현악 협주곡-초망자굿’은 부산 기장에서 강원도 속초까지 분포되어 있는 동해안 오구굿 중 ‘초망자굿’을 중심으로 구성한 작품이다.

정송희 작곡의 ‘산수계’는 통영에서 남해안 별신굿을 중심으로 성행했던 산수계 축제의 정서를 무대에 되살린 작품이다. 남해안 별신굿은 삼현육각 편성의 풍류음악을 중심으로 제례와 연례, 가무악, 놀이가 어우러진 대표적인 공연 예술로 평가받는다. 남해안 별신굿의 정영만 보유자가 직접 무대에 올라 협연을 한다.

국립국악원 창작악단의 공연 모습(사진=국립국악원).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