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시장 정말 최악이에요”…불꺼진 새 아파트, 11년 5개월 만에 최대

4 days ago 7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준공 후 미분양 주택이 2만3722가구로 증가하며 11년 5개월 만에 최대치를 기록했다.

한국주택토지공사는 3000가구 매입을 시작했지만, 시장에 미치는 영향은 미미한 상황이다.

행정안전부는 지방 건설 경기를 살리기 위한 대책을 발표하며, 건설업계는 이를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다.

회원용

핵심 요약쏙은 회원용 콘텐츠입니다.

매일경제 최신 뉴스를 요약해서 빠르게 읽을 수 있습니다.

서울 한 아파트 건설현장에 멈춰 서 있는 타워크레인 [박형기 기자]

서울 한 아파트 건설현장에 멈춰 서 있는 타워크레인 [박형기 기자]

‘악성’으로 불리는 준공 후 미분양이 지난달 2만3000가구를 넘어섰다. 이는 11년 5개월 만에 최대치다.

1일 국토교통부의 2월 기준 주택통계 자료에 따르면 전국 미분양 주택은 7만61가구로 전월 대비 3.5% 감소했다. 그러나 다 짓고도 분양이 안 된(준공 후 미분양) 주택은 2만3722가구로 같은 기간 3.7% 증가했다. 2013년 9월 이후 가장 많은 수치로, 19개월 연속 증가세다.

지방 준공 후 미분양(1만9179가구)은 전달보다 4.1% 늘었고, 수도권(4543가구)은 2.2% 증가했다. 2월 증가분(850가구) 중 88.6%(753가구)가 지방에서 발생했다. 지난 21일부터 한국주택토지공사(LH)가 지방에 있는 준공 후 미분양 3000가구 매입에 나섰지만, 시장 영향은 아직 미미한 수준이다.

같은 기간 주택 공급 선행지표인 전국 주택 인허가 물량은 1만2503가구로 전월보다 44.3%, 전년 동월 대비 45.4% 감소했다. 1~2월 누적(3만4955가구)으론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8.3% 줄었다.

또한 1~2월 주택 착공 실적은 2만247가구로 전년 동기 대비 40.6% 감소했다. 이 기간 분양(1만2825가구)도 67.9% 급감했다. 특히 서울에서는 2~3월 두달간 분양물량이 한 건도 없다.

건설 경기도 좀처럼 회복 조짐을 보이지 않고 있다. 한국건설산업연구원 자료를 보면 지난 1월 기준 건설수주는 9조원으로 전년 동월 대비 31.4% 감소했다. 1월 기준으로는 11년 만에 최저치다. 건설기성액(시공 실적·10조7000억원)도 작년 같은 달보다 26.8% 줄었다. 건설기성이 전년 동월 대비 20% 이상 감소한 것은 외환위기 때인 1998년 10월(-22.8%) 이후 처음이다.

박철한 건산연 연구위원은 “전월 대비 20% 이상 감소는 일시적일 가능성이 있다”면서도 “이런 침체가 지속될 경우 향후 국내 건설 경기 뿐만 아니라 내수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클 것”이라고 우려했다.지방 시장 악화에 행정안전부는 지난 31일 지역 건설 경기 살리기 위한 대책을 발표했다.

먼저 2005년 지방계약법 제정 이래 변동이 없던 낙찰 하한률을 조정해 300억원 미만 적격심사 대상 공사의 전 금액 구간별 낙찰 하한률을 2%포인트씩 상향한다. 또 그동안 물가 상승을 감안해 300억원 미만 공사에 대한 일반관리 비율과 간접노무비율을 1∼2%포인트씩 높인다.

건설업계는 정부의 발표에 대해 환영의 뜻을 밝혔다.

한승구 대한건설협회장은 “최근 급등한 공사비와 건설투자의 감소, 인력수급 불안정 등으로 유례없는 위기에 처해 있는 건설산업에 생명줄과도 같은 대책이 나왔다”고 평가했다. 이어 “건설업계도 성실 시공을 통해 안전과 품질을 확보하고 국민 삶의 질 향상을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겠다”고 덧붙였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

좋아요 0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