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민센터 대민서비스에도 AI 활용해야"

3 weeks ago 5

사회

"주민센터 대민서비스에도 AI 활용해야"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공공 부문에서의 인공지능(AI) 도입은 기술 적용을 넘어 국민이 변화된 서비스를 체감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한국디지털정부학회가 창립기념식에서 AI 기술을 활용한 정부 서비스의 개선과 생산성 향상 필요성을 강조했으며, 이는 행정 혁신의 중요한 요소로 언급됐다.

AI는 정책 효과 예측과 같은 다양한 용도로 활용될 수 있어 공무원들이 더 창의적인 업무에 집중할 수 있도록 돕는다고 설명되었다.

회원용

핵심 요약쏙은 회원용 콘텐츠입니다.

매일경제 최신 뉴스를 요약해서 빠르게 읽을 수 있습니다.

한국디지털정부학회 창립
"공공부문 AI, 창의성 높일것"

공공 부문의 인공지능(AI) 도입은 단순히 새로운 기술 적용에 그치지 않고, 국민이 변화된 서비스를 삶에서 직접 체감할 수 있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한국디지털정부학회는 지난 11일 창립기념식을 열고 AI 등 디지털 기술의 급격한 발전에 대응해 한국 디지털 정부의 발전 방향을 논의했다.

이날 창립기념식에는 박덕수 한국지역정보개발원장, 육동일 한국지방행정연구원장, 이용석 행정안전부 디지털정부혁신실장, 송석현 한국디지털정부학회장 등이 참석했다. 좌담회 발표를 맡은 윤정원 아마존웹서비스(AWS)코리아 대표는 "AI 정부는 기술 도입 자체가 목적이 되면 안 된다"며 "핵심은 AI 기술을 활용해 어떻게 정부의 생산성을 향상시킬지, AI를 통해 정부의 서비스가 대민 서비스 최접점인 주민센터에서까지 어떻게 개선되는지 명확하게 제시할 수 있어야 한다"고 밝혔다.

AI 도입이 행정의 혁신을 이끌 것이라는 점도 강조됐다. 과거 정부는 제한된 통계나 민원 중심 정보에 의존해 정책을 수립했다. AI는 이 같은 제약에서 벗어나 시뮬레이션, 예측 모델 등을 통해 다양한 정책의 효과를 사전에 추정하고 장단점을 비교할 수 있도록 해준다. 가령 재난 관리 분야에서 강우량·지형·인구 분포 등을 바탕으로 홍수 위험지역을 예측할 수 있고, 교통 분야에서는 버스 노선 개편 등에서 최적의 노선을 탐색할 수 있다. 최한별 국립군산대 교수는 "반복적·규칙적 업무를 AI가 처리하면 공무원은 복잡한 과제나 창의적 정책 기획에 집중할 수 있어 업무 효율성이 높아진다"고 밝혔다.

[정석환 기자]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

좋아요 0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