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소 2개사 계획 취소, 4개사 보류 연장”
미국비자 정책도 불안감 가중
올해 9월 미국 조지아주에서 발생한 한국인 노동자 구금 사태 이후 다수의 한국 기업이 계획했던 미국 투자 프로젝트를 철회하거나 보류한 것으로 확인됐다는 미국 매체의 보도가 나왔다.
미국 일간 워싱턴포스트(WP)가 1일(현지시간) 미국 주재 컨설턴트와 변호사 등 복수의 업계 관계자를 통해 파악한 바에 따르면, 한국 기업 중 최소 2개 사가 미국 내 계획했던 투자 프로젝트를 철회했다. 최소 4개 사 역시 일시 중단했던 대미 투자의 보류 기간을 연장했다.
다만 고객과의 사업 관계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것을 우려해 대미 투자를 철회하거나 보류한 해당 기업들의 이름은 공개하지 않았다.
미국 상공회의소 산하 미국-한국 경제 협의회 회장을 지낸 태미 오버비 국제 비즈니스 컨설턴트는 “한 한국 기업이 미국 내 공장 부지를 물색 중이었으나, 미국 시장의 불확실성과 위험을 우려해 결국 한국에서 공장을 확장하기로 방향을 선회했다”고 전했다.
덴버 소재 법률회사 ‘홀랜드 앤드 하트’(Holland & Hart)의 크리스 토머스 이민 변호사 역시 “한국의 한 대형 IT 기업이 이번 사건 이후 미국 진출 계획을 접고 한국이나 인도에서 입지를 확대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앞서 미국 이민 당국은 지난 9월 현대자동차와 LG에너지솔루션이 조지아주에 건설 중인 배터리 공장을 대대적으로 단속해 300명 이상의 한국인 노동자를 구금했으며 노동자들은 정부 간 협상 끝에 구금 7일 만에 석방됐다.
이후 한미 양국은 재발 방지대책 마련에 합의했지만 여파는 쉽게 가라앉지 않고 있다.
WP는 이러한 투자 위축의 배경에는 도널드 트럼프 미 행정부의 새로운 비자 규제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짚었다.
미국에 투자한 동아시아 기업들을 대리하는 변호사나 컨설턴트들은 한국을 포함한 아시아 국적자들이 미국에 출장가는 것을 두려워한다고 전했다. 이러한 불안감은 트럼프 행정부가 전문직 비자(H-1B) 수수료를 대폭 인상하면서 더욱 커지고 있다.







![美관세 충격 흡수한 GM의 비결은?…"트럭·SUV로 부활"[핫픽! 해외주식]](https://img.hankyung.com/photo/202510/01.42236449.1.jpg)










English (U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