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기 대선' 전후 집값 변화는…과거 사례 분석해 보니

3 days ago 2

'조기 대선' 선거 전후 집값 변화는…역대 정부보니

조기 대선 국면에 접어들면서 집값이 어떻게 변할지 관심이 쏠린다.

신한투자증권은 11일 '공약보다 금리가 무섭다. 선거는 단기, 시장은 거시가 결정한다'라는 제목의 보고서를 내고 과거 대선 국면 서울 집값을 분석했다.

17대인 이명박 정부는 선거 전 3개월 집값이 0.66% 상승했는데, 선거 후 3개월 동안 2.24% 더 오르면서 상승 폭이 더 커졌다. 이명박 전 대통령은 당시 △수도권 광역 교통망 확대 △그린벨트 해제를 통한 공급 확대 등 개발 위주의 공약을 내걸었다. 다만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가 터지면서 집값은 급전직하했다.

18대인 박근혜 정부에선 선거 전 3개월 동안 집값이 1.07% 내렸다. 선거 후 3개월엔 0/27% 하락해 선거 이후 집값 낙폭이 둔화했다. 박근혜 전 대통령은 당시 △재건축 초과이익환수제 유예 △뉴스테이 도입 △전세시장 안정 등 규제 완화 중심의 공약을 제시했다.

17~20대 선거전후 3개월 서울 아파트값 변동률 사진=신한투자증권

17~20대 선거전후 3개월 서울 아파트값 변동률 사진=신한투자증권

19대인 문재인 정부에선 선거 전 3개월간 집값이 1.07% 뛰었고, 선거 후 3개월 동안에도 0.31% 올랐다. 선거 직후 상승 폭이 둔화했다. 문재인 전 대통령은 △보유세 강화 △투기지역 확대 지정 등 규제 일변도의 공약을 내놨다.

20대인 윤석열 정부에선 선거 전 3개월 0.31% 올랐다가 선거 후 3개월 동안은 0.18% 내렸다. 윤석열 전 대통령은 △재건축 규제 완화 △세제 부담 완화 등 시장 친화적 공약을 제시했다.

양지영 신한투자증권 자산관리컨설팅부 수석은 "대선 이후 집값은 공약보다는 당시 시장이 맞닥뜨린 '거시환경'이 결정지었다"며 "올해 치러질 대선 이후 집값 역시 금리, 경기, 유동성 등 거시경제 여건에 달렸다"고 설명했다.

이송렬 한경닷컴 기자 yisr0203@hankyung.com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