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교통부가 올해 전국 2만2000개 건설 현장을 대상으로 안전 점검을 추진한다. 부실시공 방지와 품질 확보, 건설 현장 안전 문화 조성을 위해서다.
4일 국토부는 5개 지방국토관리청을 비롯한 총 12개 기관과 함께 해빙기·우기·동절기 등 취약 시기 정기 점검과 사망사고 발생 현장에 대한 특별 점검을 실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안전 관리 역량이 상대적으로 취약하다고 평가되는 사업비 50억원 미만 현장은 지방국토관리청과 국토안전관리원이 전담 조직을 구성해 연중 상시 점검하기로 했다.
기존에 해오던 특별 합동 점검도 강화한다. 지난달 25일 10명의 사상자를 낸 서울~세종고속도로 건설 현장의 붕괴 사고를 계기로 현장 점검을 할 때 감리·시공사·점검자가 직접 비계에 올라 안전성을 확인할 방침이다.
안전 보호구의 지급·착용 여부도 중점 점검 대상에 포함된다. 추락사고가 발생한 시공사는 본사 차원에서 모든 현장을 자체 점검해 점검 결과와 재발 방지 대책을 제출해야 한다.
김태병 국토부 기술안전정책관은 “올해는 건설 현장 추락사고 예방에 역량을 집중해 건설 안전과 품질을 확보할 계획”이라며 “발주자와 시공자, 근로자 등 모든 건설 참여자들이 안전을 최우선으로 하는 근로 환경 조성에 동참해 주길 바란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