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건설현장 2만2천곳 국토부 집중 점검

4 weeks ago 5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국토교통부는 올해 전국 2만2000개 건설 현장에서 안전 점검을 실시하고, 이를 통해 부실시공 방지와 품질 확보, 건설 현장 안전 문화 조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

특히, 사업비 50억원 미만의 현장을 대상으로 상시 점검을 실시하고, 서울~세종고속도로 건설 현장의 붕괴 사고를 계기로 더욱 강화된 현장 점검을 진행할 예정이다.

김태병 국토부 기술안전정책관은 건설 안전과 품질 확보를 위해 모든 관계자의 협조를 요청했다.

회원용

핵심 요약쏙은 회원용 콘텐츠입니다.

매일경제 최신 뉴스를 요약해서 빠르게 읽을 수 있습니다.

진현환 국토교통부 제1차관이 28일 서울 관악구 공동주택 급경사지 해빙기 안전점검 현장에서 진행 상황을 점검하고 있다. [사진출처=연합뉴스]

진현환 국토교통부 제1차관이 28일 서울 관악구 공동주택 급경사지 해빙기 안전점검 현장에서 진행 상황을 점검하고 있다. [사진출처=연합뉴스]

국토교통부가 올해 전국 2만2000개 건설 현장을 대상으로 안전 점검을 추진한다. 부실시공 방지와 품질 확보, 건설 현장 안전 문화 조성을 위해서다.

4일 국토부는 5개 지방국토관리청을 비롯한 총 12개 기관과 함께 해빙기·우기·동절기 등 취약 시기 정기 점검과 사망사고 발생 현장에 대한 특별 점검을 실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안전 관리 역량이 상대적으로 취약하다고 평가되는 사업비 50억원 미만 현장은 지방국토관리청과 국토안전관리원이 전담 조직을 구성해 연중 상시 점검하기로 했다.

기존에 해오던 특별 합동 점검도 강화한다. 지난달 25일 10명의 사상자를 낸 서울~세종고속도로 건설 현장의 붕괴 사고를 계기로 현장 점검을 할 때 감리·시공사·점검자가 직접 비계에 올라 안전성을 확인할 방침이다.

안전 보호구의 지급·착용 여부도 중점 점검 대상에 포함된다. 추락사고가 발생한 시공사는 본사 차원에서 모든 현장을 자체 점검해 점검 결과와 재발 방지 대책을 제출해야 한다.

김태병 국토부 기술안전정책관은 “올해는 건설 현장 추락사고 예방에 역량을 집중해 건설 안전과 품질을 확보할 계획”이라며 “발주자와 시공자, 근로자 등 모든 건설 참여자들이 안전을 최우선으로 하는 근로 환경 조성에 동참해 주길 바란다”고 말했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

좋아요 0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