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수산에 백도라지∼ 백세 장수 한다오”… 잊혀진 민요 26곡 흥겹게 울려 퍼진다

1 week ago 7

국립국악원 ‘다시 그리는 노래’
“삶 지탱해 주는 민속음악 선사”

9일 서울 서초구 국립국악원 예악당에서 민속악단 정기 공연 ‘다시 그리는 노래’ 리허설이 열렸다. 10, 11일 이틀에 걸쳐 열리는 이번 정기 공연은 오늘날 잊혀져 가는 지역별 민요 26곡을 현대적으로 복원해 선보인다. 국립국악원 제공

9일 서울 서초구 국립국악원 예악당에서 민속악단 정기 공연 ‘다시 그리는 노래’ 리허설이 열렸다. 10, 11일 이틀에 걸쳐 열리는 이번 정기 공연은 오늘날 잊혀져 가는 지역별 민요 26곡을 현대적으로 복원해 선보인다. 국립국악원 제공
“장수산에 백도라지∼ 한두 뿌리만 먹어도 백세 장수를 한다오.”

9일 서울 서초구 국립국악원 예악당 리허설 현장에서 서도 민요 ‘긴도라지타령’이 울려 퍼졌다. 도라지타령은 흔히 경기 민요로 알려져 있지만, 서도(황해도, 평안도)의 도라지타령이 그 뿌리다. 노래에선 꺾는 음과 간드러진 음을 많이 사용한 서도민요 특유의 애절함이 잘 느껴졌다.

이날 리허설은 10, 11일 열리는 국립국악원 민속악단 정기 공연 ‘다시 그리는 노래’를 위해 마련됐다. 일제강점기부터 1960년대에 이르기까지 널리 불렸지만, 오늘날에 이르러 잊혀진 민요 26곡을 엄선해 선보이는 공연이다. 각 민요들은 남아있는 음원과 현장 조사로 수집한 자료 등을 통해 현대적으로 재해석됐다. 리허설 현장에서 만난 유지숙 예술감독은 “흙 속 진주를 찾아내는 마음으로 민요를 다듬었다”며 “각 지역 민요의 전형적인 매력을 찾아가는 보람이 컸다”고 말했다.

이번 공연에선 민속악단 50여 명이 경기, 서도, 남도, 강원도 등 다양한 지역의 소리를 들려준다. 경기 소리를 노래하는 1막에선 ‘회심곡’ ‘선산애원성’ 등 세상을 떠난 이를 애틋하게 그리는 노래들을 주로 선보인다. 서도 소리를 다룬 2막에선 아이를 어를 때 부르는 ‘둥개타령’, 소리꾼이 가야금을 연주하며 부르는 ‘청류원’ 등을 감상할 수 있다.

3막은 남도 소리를 다뤘다. ‘화전가’ ‘매화가’ ‘도화가’ 등 꽃을 주제로 한 화사한 노래들로 분위기를 바꾼다. 경기와 서도 민요가 함께 어우러지는 4막에선 꽹과리와 북, 장구 등 사물놀이 연주에 맞춰 ‘인천 장타령’ ‘강원 장타령’ 등을 불러 더욱 흥겨운 분위기를 이끌어 낸다.

‘다시 그리는 노래’는 발에 씌운 인형탈 ‘발탈’을 활용해 극을 전체적으로 이끄는 재담꾼을 둔 것도 흥미로운 포인트 중 하나다. 재담꾼 역할을 맡은 정준태 씨는 적절한 타이밍에 익살스러운 목소리로 공연 해설을 곁들여 관객의 이해를 도왔다.

김태욱 연출은 “재담꾼을 통해 해학적으로 이야기를 던지면 자연스레 백성들의 이야기를 전달할 수 있겠다고 생각했다”며 “무대도 백성들의 이야기를 듣는 마당놀이 판처럼 꾸미고자 했다”고 설명했다.공연자들의 머리 위 스크린에선 ‘꽃’ ‘달’ 등 각 공연에 맞는 화면을 재생해 관객이 몰입하도록 만든 점도 눈길을 끈다. 유 감독은 “음악성이 높으면서 세련된 소리를 골랐고, 편안한 무대를 만들기 위해 노력했다”고 말했다. 김 연출은 “이번 공연을 보고 ‘민속음악이 우리를 하나로 엮고 삶을 지탱해 준다’는 것을 관객들이 느꼈으면 좋겠다”고 했다.

사지원 기자 4g1@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지금 뜨는 뉴스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