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신 중 조심하세요”…제주서 올해 첫 지카바이러스 환자 발생

4 weeks ago 5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올해 국내 첫 지카바이러스 감염증 환자가 제주에서 신고되었으며, 40대 A씨는 인도네시아 여행 후 감염된 것으로 추정된다.

현재 A씨는 증세가 호전 중이며, 제주도는 역학조사를 실시하고 특별 방제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지카바이러스 감염증은 모기에 의해 전파되며, 예방백신이나 치료제가 없어 모기 방지가 중요하다.

회원용

핵심 요약쏙은 회원용 콘텐츠입니다.

매일경제 최신 뉴스를 요약해서 빠르게 읽을 수 있습니다.

인천국제공항 제1여객터미널 출국장. [사진 = 연합뉴스]

인천국제공항 제1여객터미널 출국장. [사진 = 연합뉴스]

올해 국내 첫 지카바이러스 감염증 환자가 제주에서 신고됐다.

2일 제주도에 따르면 40대 A씨는 지난달 30일 제주에서 지카바이러스 확진 판정을 받았다.

그는 지난달 중순 9일간 인도네시아를 여행했으며 현지에서 모기에 물려 감염된 것으로 추정된다. 오한과 근육통, 결막 충혈 등의 증상을 보였으며 지금은 호전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A씨의 주소지는 경기도이지만, 업무상 제주에 머물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제주도는 주소지 관할 보건소와 협력해 역학조사를 실시하고 있다.

도는 환자 거주지와 생활지역 반경 200m 내에서 모기를 채집해 지카바이러스 검사를 진행하는 한편 특별 방제작업도 벌이고 있다.

지카바이러스 감염증은 바이러스에 감염된 숲모기에 물린 후 3∼14일 잠복기를 거쳐 반점구진성 발진과 발열, 결막충혈, 관절통, 근육통 등이 나타난다. 증상은 대부분 경미하지만, 임신 중 감염되면 소두증 등 선천성 기형을 일으킬 수 있어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감염 경로는 모기 외에도 성접촉, 수혈, 모자간 수직감염, 실험실 감염 등이 보고되고 있다.

지카바이러스 감염 환자 대부분은 이번처럼 동남아시아 지역을 방문해 모기에 물렸다 감염된 것으로, 우리나라에서 매개 모기에 물려 감염된 사례는 아직 없다.

지카바이러스는 예방백신이나 치료제가 없어 모기에 물리지 않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특히 동남아 국가 등을 방문할 땐 모기가 많은 풀숲이나 산속을 가급적 피하고 외출 시엔 밝은색 긴 팔 상의와 긴 바지, 모기 기피제를 사용하는 등의 예방수칙을 준수해야 한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

좋아요 0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