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기업의 첨단 기술을 활용해 이탈리아 밀라노, 영국 버밍엄, 태국 콘캔 등 해외 도시 문제를 해결하는 실증 사업을 추진한다.
7일 국토교통부는 ‘K도시 네트워크 2025 해외실증형 사업’ 공모 결과 5개국, 6개 도시를 최종 선정했다고 밝혔다. 태국 콘캔,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 이탈리아 밀라노·베로나, 영국 버밍엄, 페루 리마가 대상지다. 이달부터 총 23억원 규모의 현지 실증사업이 본격 추진된다.
‘K도시 네트워크’는 스마트 시티 분야의 혁신 기술을 해외 도시 여건에 맞춰 실증하는 정책이다. 국내 기업의 글로벌 시장 진출을 지원하는 동시에 정부 간 협력 강화를 도모한다. 올해 선정된 도시들은 교통 혼잡, 쓰레기 수거 등 다양한 도시 문제에 직면해 있다. 국내 기업의 첨단 기술을 활용해 지역 맞춤형 스마트 솔루션을 제공할 계획이다.
태국 콘캔에선 CCTV 실시간 영상을 인공지능(AI) 기반으로 분석하는 기술을 실증한다. 이상 상황을 실시간으로 탐지하고 알려주는 솔루션이다. 재난, 범죄 등 이상 상황에서 경찰의 신속한 대응을 지원하는 게 목표다.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에선 주차 공간을 빠르게 확인할 수 있는 AI 기반 스마트 주차장 시스템을 실증한다. 이탈리아 밀라노에선 급증하는 도시 쓰레기 문제 해결을 돕는다. 도심 곳곳에 지능형 사물인터넷 적재량 감지 센서와 압축기능이 있는 쓰레기통을 설치하는 식이다. 스마트 폐기물 관리시스템도 실증해 이를 유럽 진출의 교두보로 삼을 계획이다.
영국 버밍엄에선 교통약자의 무장애 보행을 지원하는 AR 기반 내비게이션 서비스를, 페루 리마에선 교통 사고 예방을 위한 교통 안전 솔루션을 각각 실증한다. 국토부는 이번 실증사업을 통해 한국형 스마트 기술의 우수성을 해외 현장에서 직접 입증할 방침이다. 수출과 연계된 지속 가능한 도시 협력 모델을 확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윤영중 국토부 도시경제과장은 “이번 실증사업은 한국의 스마트시티 기술이 대안이 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줄 기회”라며 “우리 기업의 글로벌 시장 진출을 적극 지원하고 해외 도시와의 협력 네트워크를 강화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