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진숙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후보자가 과거 충남대 교수 시절 논문 두 편을 각기 다른 학회지에 중복으로 실은, 이른바 ‘논문 쪼개기’ 의혹을 받고 있다.
논란이 된 해당 논문 2편은 자신이 지도하던 대학원생이 같은 해 발표한 논문과도 사실상 동일해 제자 논문을 ‘가로채기’했단 의심도 제기되고 있다.
4일 국회 교육위원회 소속 국민의힘 김민전 의원실에 따르면 이 후보자는 2018년 2월 ‘조명의 면적 및 조도 연출 변화에 따른 피로감 평가 연구’라는 제목의 논문을 한국색채학회 논문집에 냈다.
한 달 뒤에는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 논문지에 ‘조명의 면적 및 조도 연출 변화에 따른 불쾌글레어 평가 연구’ 논문을 실었다.
문제는 한국학술지인용색인(KCI) 문헌 유사도 검사 결과, 두 논문의 전체 유사도가 35%로 나타났다는 점이다.
학계에서는 통상 논문 유사도 검사 결과 표절률이 25% 이상이면 실제 표절 여부를 살펴봐야 하는 것으로 본다.
김 의원실의 분석 결과, 실제로 두 논문에는 실험 설계와 참여자 조건, 결론에서 동일한 문장이 여럿 발견됐다.
이를테면 두 논문은 실험단계에 ‘공간의 평균 조도는 고정밀조도계(T10, Minolta)를 이용해 KS 5점법에 의해 측정했으며, 바닥으로부터 높이 80±5㎝ 높이에서 측정했다’고 썼다.
또, 두 논문 모두 결론에 ‘연출 불변 시 지표등급은 배경휘도와 광원휘도간 휘도비가 낮거나 고면적·저조도의 연출에서 대부분 허용 범위로 나타났다’고 돼 있다.
그러나 두 논문에는 서로 참고했다거나 인용했다는 내용은 적시되지 않았다.
학계 일각에서는 이런 행위는 소위 논문 쪼개기로, 교육부 연구 윤리 지침상 중복게재에 해당할 수 있다는 지적을 제기했다.
게다가 이 2편의 논문은 약 한 달 뒤 발표된 이 후보자의 제자 논문과도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후보자의 지도를 받던 대학원생 A씨는 2018년 4월 충남대 대학원에 박사학위 논문 ‘시스템 조명의 연출 변화에 따른 불쾌글레어 설계 지표 연구’를 제출했고, 그해 8월 박사학위를 받았다. 이 후보자는 해당 논문 지도교수로 이름을 올렸다.
김 의원실의 분석 결과, A씨 논문은 이 후보자의 앞선 2편의 논문과 상당 부분 동일했다.
일례로 이 후보자 연구에서는 연구 실험 환경을 ‘규모 3250 x 5080 x 2700㎜의 암실’로 설정했고, A씨 박사학위 논문에선 ‘규모 3250 x 5080 X 2500㎜’으로 설정했다. 연구 변인을 이 후보자는 ‘저면적’, A씨는 ‘소면적’이라고 썼다.
표절검사 프로그램 ‘카피킬러’를 활용해 A씨의 박사논문과 이 후보자의 논문 2편을 비교한 결과, 표절률은 각각 37%, 48%였다.
일각에선 이 후보자가 자신이 지도하던 제자 논문을 가로채 먼저 다른 논문지에 발표한 것 아니냐는 의혹도 나온다.
아울러 이 후보자가 교수 재직 시절 제자의 논문을 요약해 학술지에 발표한 사례가 여럿 있다는 의혹도 제기됐다.
이 후보자가 2000년 이후 제1 저자로 쓴 논문과, 비슷한 시기 이 후보자가 지도한 대학원생들의 석·박사 학위 논문을 비교한 결과 10개 이상의 논문에서 제자 논문을 표절한 정황이 확인됐다는 것이다.
이런 가운데 범학계국민검증단은 이 후보자의 논문 중복 게재·제자 논문 표절 의혹에 대한 검증에 착수했다. 검증 결과는 이달 중순께 열릴 이 후보자 인사청문회 이후 발표할 것으로 보인다.
범학계국민검증단은 과거 김건희 여사 논문 검증을 주도한 바 있다.
이와 관련해 교육부 인사청문회준비단은 “후보자가 2007년∼2019년 작성한 논문들은 (충남대) 총장 임용 당시 전문가로 구성된 연구윤리검증위원회로부터 ‘연구부정행위 없음’으로 공식 확인됐다”며 “논문과 관련해 제기된 의혹에 대해서는 인사청문회 과정에서 충실하게 소명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김민전 의원은 “연구 윤리 위반은 중대한 결격 사유”라며 “인사청문회에서 해당 의혹을 면밀히 검증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