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첫 공약은 'AI 기본사회'…"100兆 투자 '한국형 챗GPT' 추진"

1 day ago 2

이재명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14일 반도체 설계 전문 스타트업인 퓨리오사AI 본사에서 ‘퓨리오사AI 신경망처리장치(NPU) 칩’을 들어 보이고 있다.  강은구 기자

이재명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14일 반도체 설계 전문 스타트업인 퓨리오사AI 본사에서 ‘퓨리오사AI 신경망처리장치(NPU) 칩’을 들어 보이고 있다. 강은구 기자

이재명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인공지능(AI) 세계 3대 강국으로 우뚝 서겠다”며 정부의 AI 투자를 선진국 수준으로 대폭 늘리겠다고 했다. 전 국민은 무료로 ‘한국형 챗GPT’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약속했다. 이 전 대표는 앞으로 민생 경제에 초점을 맞춰 대권 도전 행보를 이어갈 방침이다.

이 전 대표는 14일 대선 출마 선언 이후 첫 공식 일정으로 AI 반도체 설계 스타트업인 퓨리오사AI 방문에 맞춰 SNS에 AI 공약을 발표했다. 이 전 대표는 “AI는 동시대 세계 경제의 판도를 바꿀 게임 체인저”라며 “AI 투자 100조원 시대를 열겠다”고 했다. 집권 시 5년 임기 내에 정부와 민간 투자를 합쳐 총 100조원의 자금이 AI 분야로 흘러가게 하겠다는 구상이다. 이 전 대표는 “정부가 민간 투자의 마중물이 돼 AI 관련 예산을 선진국을 넘어서는 수준까지 증액하겠다”고 했다.

미국 스탠퍼드대 조사에 따르면 AI와 관련한 우리나라의 민간 투자는 13억3000만달러다. 조사 대상 국가 중 11위다. 이 전 대표는 “글로벌 협력체계가 절실하다”며 “글로벌 AI 공동투자기금을 조성하고, 협력국이 공용으로 사용 가능한 기술을 개발하겠다”고 했다. 이 전 대표는 “이를 기반으로 태평양 인도 중동 국가까지 협력이 확대돼 다국적 데이터 활용이 가능해지면 디지털 인구가 10억 명까지 늘어날 수 있다”며 “K-AI를 주도할 기반이 마련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인재 양성을 위해 지역별 거점 대학에 AI 단과대학을 세우고 AI 우수 인재의 병역 특례도 확대하겠다고 했다.

이 전 대표는 전 국민이 AI 서비스를 무료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고, 이로 인해 쌓인 데이터를 다른 산업 발전의 원동력으로 삼겠다고 밝혔다. 그는 “순식간에 수많은 데이터를 쌓을 수 있다”며 “국가가 ‘모두의 AI’에 투자해야 하는 이유”라고 강조했다. 궁극적으로 AI를 통해 생산성을 높이고 노동시간을 단축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이 전 대표는 지난 2월 교섭단체 대표 연설에서 “AI와 신기술로 생산성이 높아지는 대신 노동의 역할과 몫의 축소는 필연”이라며 “AI와 첨단기술에 의한 생산성 향상은 노동시장 단축으로 이어져야 한다”고 했었다. 이 전 대표는 “AI로 금융 건강 식량 재난 리스크를 분석해 국민의 삶을 지키는 ‘AI 기본사회’를 만들겠다”고 했다.

이 전 대표는 이날 퓨리오사AI를 방문한 데 이어 당분간 기업 성장을 지원하고 민생 경제를 챙기는 행보를 이어갈 방침이다. 이 전 대표 측 관계자는 “조기 대선 기간이 짧은 현실을 감안해 현장 방문을 주요 공약 발표를 위한 일정으로 활용할 계획”이라며 “민생 경제 회복에 방점을 두고 앞으로의 일정을 짤 것”이라고 했다.

한재영 기자 jyhan@hankyung.com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