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김경수, 김동연 더불어민주당 대선 경선 후보가 18일 정치, 경제외교안보, 사회 분야를 주제로 첫 TV 토론을 벌였다. 이 후보가 독주하는 가운데 세 후보 간 날 선 공방은 없었다. 이 후보는 두 후보에 대한 공격을 최대한 자제했고 김경수, 김동연 후보도 이 대표를 향해 각을 세우기보다는 공약 설명에 집중했다. 다만 증세, 대미(對美) 관세협상 등을 놓고는 후보들 간 입장이 갈렸다.
◇2金, 이재명에게 질문 공세
이날 서울 상암동 MBC에서 열린 TV 토론회에서 세 후보는 증세 문제를 놓고 입장 차를 보였다. 김동연 후보는 “정치권에서 표를 의식한 포퓰리즘적 감세 경쟁이 벌어지고 있다”며 이 후보의 에너지 고속도로 구축, 인공지능(AI) 기본사회 공약 등을 거론했다. 그러면서 “책임 있는 정치인이라면 증세까지 얘기할 수 있어야 한다”고 했다.
그러자 이 후보는 “지금은 경제 상황이 너무 어려워서 증세를 추진하는 건 바람직해 보이지 않는다”며 “지출 조정을 통해 (재원을) 마련하고 성장률을 회복해 재원을 확보하는 근본적 대책을 수립하는 게 합당하다”고 말했다.
이에 김동연 후보는 “유력 정치인들이 감세 얘기를 하면서 많은 공약을 내세우는 건 정직하지 못하다”며 “국민을 기만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김경수 후보 역시 “이 후보가 얘기한 조세지출 조정만으로는 필요한 재원을 확보하기 어렵다”며 사실상 증세 필요성을 주장했다.
도널드 트럼프 2기 미국 행정부발(發) 통상 전쟁 대처를 놓고도 입장이 갈렸다. 이 후보는 “트럼프 대통령의 전략은 ‘광인 작전’이라고 불릴 정도로 과감하다”며 “트럼프 대통령이 던지는 단일 의제에 매달리면 당하기 쉬우니 방위비 협상, 조선업 협력, 알래스카 액화천연가스(LNG) 등을 주제로 포괄 협상해야 한다”고 했다. 반면 김동연 후보는 “포괄 협상은 위험 부담이 크다”며 “주제를 분리해 협상하는 전략이 주축이 돼야 한다”고 맞섰다.
차기 대통령 집무실을 어디로 할지를 놓고도 이견을 보였다. 이 후보는 “용산을 쓰면서 청와대를 신속히 보수해 들어가는 게 좋고, 궁극적으로는 세종시로 집무실을 옮기겠다”고 말했다. 김동연 후보는 “취임 다음 날부터 곧바로 세종에서 근무할 수 있다”고 했고, 김경수 후보는 “집권 초기에도 세종시에 집무실을 두는 게 맞다고 생각한다”고 했다.
◇‘내란범 사면 금지’엔 한목소리
12·3 비상계엄 사태 후속 조치를 두고는 한목소리를 냈다. 김동연 후보가 “불법적 내란을 일으킨 사람들에 대해서는 (대통령이) 사면권을 행사하지 못하도록 해야 한다”고 하자 이 후보는 “공감한다”고 답했다.
민주당이 중도 보수로 확장해야 한다는 부분도 후보 간 공감대를 형성했다. 이 후보는 “‘경제는 보수, 복지는 진보’라는 오해가 있다”며 “민주당은 원래 중도면서 진보에 가까웠고 지금은 보수 정당이 보수 역할을 팽개치면서 민주당이 보수 영역도 책임져야 한다”고 했다. 김경수 후보는 “(민주당은) 역사적으로 김대중, 노무현 대통령 이후로 진보적 가치에 뿌리를 둔 서민과 중산층의 정당”이라며 “보수 정당이 역할을 내팽개치고 극우로 가버렸으니 민주당이 그 부분까지 책임지게 됐다”고 거들었다.
토론 초반 김동연 후보는 개헌과 관련해 이 후보를 향해 따져 묻기도 했다. 지난 대선에서 이 후보가 자신과 단일화를 하며 합의한 분권형 대통령제와 선거법 개편 등에 관한 약속이 지켜지지 않았다는 이유에서다. 김동연 후보는 “지난 대선에서 분권형 대통령제와 임기 단축 개헌에 공감했는데 이후 소극적인 태도를 취하는 것 같다”고 지적했다. 이에 이 후보는 “(내가) 대통령이 되지 못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최형창/정상원 기자 calling@hankyung.com